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김효진 전문가
KICST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30일 작성 됨
Q.
가끔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이 있는데 그것은 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서 반사되는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빨간색을 제외한 다른 색들은 산란되고 빨간색만 통과되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30일 작성 됨
Q.
밤하늘에 별은 왜 그렇게 반짝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볓이 빛을 내는 이유는 2가지입니다. 태양처럼 핵융합을 하는 경우와 빛을 받는 별에서 그 빛이 반사되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이런 빛들이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할 때, 대기의 두께나 밀도 등 때문에 굴절되기도 삽니다. 또한 대기에 방해받는 정도에 따라 빛의 투과에 차이가 발생되어 지구에서 바라보는 관찰자의 입장에서는 반짝거립니다. 쉽게 말하자면 빛이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것입니다.
물리
2023년 7월 30일 작성 됨
Q.
왜 상대성 이론은 법칙이 아니라 이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법칙은 예외가 존재하면 안됩니다. 예를 들면 베르누이의 정리가 있겠습니다. 베르누이의 법칙이라는 말도 심심찮게 사용하는데, 완전유체를 가정한 것이라서 원어는 베르누이의 이론입니다. 그런데 상대성 이론이나 베르누이의 정리는 법칙이라고 하는 것이 옳습니다. 제안자가 가정을 한 상태에서는 분명 법칙이거든요.
화학
2023년 7월 30일 작성 됨
Q.
민물과 수돗물의 차이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빗물과 수돗물의 가장 큰 차이는 ph 농도입니다. 빗물은 약산성이고 수돗물은 중성입니다. 빗물은 자연상태의 물이라서 수돗물보다는 영양분이 많을 수 있지만 대기의 좋지 않은 성분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수돗물은 빗물에는 없는 소독제인 염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어느 물이건 사람이 이용하는 것에는 상관이 없겠지만 쓰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서 달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7월 29일 작성 됨
Q.
인간의 치아는 왜 2번 밖에 안나올까요? 과거 인류의 조상도 그랬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유전자 때문입니다. 염색체가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복원이 가능한 텔로미어를 갖고 태어난다면 계속 치아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분야도 상당히 발전된 상태이며, 황우석 박사가 하는 복제의 진보된 분야입니다.
토목공학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질병이 없는 사람이 수면을 통해서 간의 피로를 없애기위해서는 평균 몇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최소 8시간 이상을 권장합니다. 8시간의 개념은 실제 수면시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누워서 잠을 청하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기상할 때까지를 말합니다. 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면시간보다는 섭취물이 절대적입니다. 다만 개인적인 경험상 주변 사람들이나 가족들을 관찰해보면 수면이후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확실히 빠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량적인 수치는 알 수 없으나 분명히 수면 시간이 8시간에 근접하거나 그 이상일 때 회복 속도가 빠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외딴 저수지에는 물고기가 어떻게 생겼을까?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새들의 몸에 물고기의 알이 붙어서 이동됩니다. 또는 새들이 알을 밴 물고기나 물고기의 알을 먹고 이동한 후 배설을 할 때, 알이 부화한 것입니다. 음식물을 씹어먹는 사람도 회를 잘못 먹으면 기생충의 알이 사람의 몸 안에서 부화하고 기생할 정도인데, 통째로 물고기를 삼키는 새들을 생각해보면 그리 놀랄 일도 아니겠습니다. 물고기의 알을 잡아먹는 새들에 대항하여 알이 소화에 저항할 수 있도록 알의 보호막이 진화된 것도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인류가 지구에서 외계물질을 발견한 증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계라는 것은 영어 시스템을 번역한 것입니다. 흔히 생태계라고 할 때의 계와 같은 뜻으로서 본인이 임의로 설정하는 대상 범위입니다. 말씀하신 외계라는 것이 지구계의 밖인지, 태양계의 밖인지 알 수는 없지만 흔히 말하는 미지의 우주를 뜻하시는 것 같습니다. 또한 외계 물질은 지구에 존재하는 것과 다른 물질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어쨌건 외계 물질은 운석 등으로 날아오기 때문에 존재합니다. 성분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지구에 존재하는 물질과 다르지 않습니다. 애초 지구도 외계 물질에 기반하여 탄생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선풍기 틀어놓고 자면 몸에 안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를 틀고 자면 위험하고 질식사 할 수 있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특히 산소 부족으로 사망할 수 있다는 이야기는 70년대부터 언론과 의사들이 하던 소리지요. 요즘 중학교 과학 수준이면 알 수 있는 같잖은 말이지요. 먼지 등이 날아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것도 헛소리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지하철로 출퇴근하는 서울 시민은 모두 폐암 말기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선풍기를 틀고 자도 아무 상관이 없으며, 다만 얼굴 가까이에 틀고 자면 얼굴이 붓거나 깊은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선풍기와 거리를 두거나 발의 방향으로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상적인 방법은 미풍으로 회전을 시키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7월 12일 작성 됨
Q.
선풍기랑 환풍기랑 바람이 반대로 부는데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이용자의 입장에서는 바람이 반대로 불지만 팬의 입장에서는 같습니다. 단지 반대로 설치한 것일푼입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