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십니까. 김효진 과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김효진 전문가
KICST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20일 작성 됨
Q.
우주의 중심이라는 것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는 중심이 없습니다. 축구공이나 농구공에 공기를 넣는 것을 생각하면 안됩니다. 처음 폭발시 타원형이 아닐 수도 있고 풍선처럼 한 방향으로 형성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풍선의 예를 들자면 세워서 볼 때, 공기를 불어 넣는 곳이 중심일까요? 아니면 풍선의 크기가 사방으로 계속 증가할 때, 중앙도 그에 따라 변할텐데..결국 우주는 중심을 정의할 수가 없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17일 작성 됨
Q.
벌이 색깔을 구별하나요? 옷을 밝게 입으라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벌은 어두운 색에 공격성을 보이지만 반대인 곤충도 많습니다. 독성을 지닌 육식 식물들이 화려한 것을 연상하면 됩니다. 등산할 때에는 아무래도 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밝은색을 입어야 하겠습니다.
화학
2023년 6월 17일 작성 됨
Q.
갈색설탕이 백색설탕 보다 좋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풍미의 차이입니다. 커피에 갈색 설탕을 넣으면 당도는 낮겠지만 커피 본래의 맛을 살리지 못합니다. 어느 카페인지 기본 자세가 되어 있지 않네요.
토목공학
2023년 6월 15일 작성 됨
Q.
바퀴벌레는 왜 불을 키면 어두운곳으로 숨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서식하는 곳이 주로 습기가 많은 곳인데, 결국 어두운 곳에서 사는 본능 때문입니다. 하지만 24시간 형광등을 2일 정도 켜놓으면 바로 적응하여 낮에도 활발히 활동합니다. 현실적으로 진화를 체험할 수 있는, 가장 짧고 돈도 들지 않는 확실한 증거입니다. 제가 직접 실험했습니다. 바퀴벌레에게 1주일 정도 말을 시키면 눈을 부라리고 뭐라고 따르르 따르르 크게 지껄이면서 대듭니다. 이것도 제가 실험한 결과입니다. 바퀴벌레의 지능은 곤충을 넘어서 매우 높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15일 작성 됨
Q.
실제로 모기에 잘 물리는 체질이나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사람의 호흡을 감지하여 뭅니다. 아무래도 비만이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들은 호흡이 빠를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도 짙고 연속적이며 양도 많기 때문에 모기에 여러 회 물릴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15일 작성 됨
Q.
모기가 좋아하는 혈액형이 따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선호하는 혈액형이 있다는 것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습니다. 오히려 당분이 많은 피를 좋아한다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습니다. 모기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여 무는 것일뿐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14일 작성 됨
Q.
박쥐가 곤충개체 수를 어떻게 통제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먹이사슬 때문입니다. 새도 곤충을 먹는데, 새는 야행성이 아닙니다. 새가 낮에 활동하는 곤충을 먹는다면 박쥐는 밤에 활동하는 곤충도 관장한다고 할까요? 영화나 소설에 등장하는 드라큘라나 배트맨의 영향으로 박쥐에 대한 오해가 많은데, 흡혈하는 박쥐는 몇 종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 과일의 즙이나 작은 곤충을 먹습니다. 겁이 매우 많고 개념이 없는 동물이라서 피를 빨아먹을 정도로 대담하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14일 작성 됨
Q.
뜨거운 공기가 위로 상승하는 과학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는 열을 얻을수록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해집니다. 그래서 보일러를 틀면 바닥의 열이 공기에 전달되어 훈훈해집니다. 반대로 차거운 공기는 하강을 하므로 에어컨은 송풍구가 위에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3년 6월 12일 작성 됨
Q.
저희 회사 생산 설비중에 아주 고온에서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내열성을 극대화한 합금입니다. 니켈에 크롬과 철, 타이타늄이 들어간 합금입니다. 여기에 사용성에 따라 알루미늄, 망가니즈, 규소를 소량 첨가합니다. 내열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반면 가공에는 불리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12일 작성 됨
Q.
O자형 다리는 선천적인가요? 후천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과학전문가입니다.후천적입니다. 모든 사람은 O자형으로 태어납니다.아기들이 뒤뚱뒤뚱 걷는 것은 다리에 힘이 없기 때문문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근본제인 이유는 다리가 O자이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리가 펴지는 것입니다. 원숭이나 침팬지가 뒤뚱뒤뚱 걷는 것도 같은 이유이고 단지 자라면서 다리가 덜 펴졌기 때문입니다. 사고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한 후유증이 아니라면 교정을 통하여 일자로 바꿀 수 있습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