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자산을 키우는 사자팔자입니다. 조장우 전문가입니다.
자산을 키우는 사자팔자입니다. 조장우 전문가입니다.
조장우 전문가
누리부동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4년 11월 2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왜 땅콩주택이 별로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땅콩주택을 한참 찾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개발은 해야 하나 땅은 부족하고 개발에 대한 부담도 느끼다보니 땅콩주택을 짓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개발에 발전이 있다보니 굳이 땅콩주택을 짓는 것보다는 모듈형 주택을 짓는 것 같더라구요.
부동산
2024년 11월 25일 작성 됨
Q.
지금 아파트가25년정도됬는데 보통 얼마나되면 재개발할까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25년 정도면 더 오래 걸립니다. 재건축의 경우 인접한 빌라들을 모두 조합원으로 모아서 재건축 추진을 할 수는 있지만 재개발의 경우 사실상 주변의 도로 및 하수관 등 대부분의 인프라 또한 갈아 엎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해당 아파트가 많이 비었다는 것이 조합원이 없는 등으로 빈 동네일 경우 이러한 개발에 수익성이 나오지 않을 경우 개발이 안되고 버려진 아파트가 될 수도 있습니다.
공인중개사 자격증
2024년 11월 25일 작성 됨
Q.
지금시점에 공인중개사자격취득..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우선 본인이 하고자 하는 직업을 먼저 생각해보세요. 공무원을 준비해야 하는지 혹은 부동산기업에 취직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공무원의 장점은 안정적인 직장이지만 그만큼 월급이 낮습니다. 부동산기업은 사기업이다 보니 적은 임금보다는 월세를 어느정도 받는 편입니다. 하는 일도 창의적인 일들이 있고 반복적인 일들도 있으며, 영업적인 일도 있습니다. 공무원의 경우 이와는 반대로 반복적인 업무가 주를 이룹니다.나이에 따라서도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공무원이 목적이지만 시간이 남는다면 공인중개사를 미리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공무원 합격 이후에 이를 취득해도 되니 사실 공무원을 먼저 준비하는 것이 더 나을 듯 합니다. 공인중개사를 합격했다 하더라도 경제가 좋고 부동산 시장이 좋아야 영업적인 수완이나 개발이 활발해서 취직도 잘 됩니다. 하지만, 지금의 시기는 어려운 시기이다 보니 자격증이 있다하더라도 취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5일 작성 됨
Q.
건물주라고 꼭 부자는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건물주라는 것이 생각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은 아닙니다. 건물을 매입할 때에 대출을 끼고 전세를 끼고 매수하다보면 전세세입자를 내보내야 할 수도 있고, 그만큼 돈을 모아놔야 합니다. 건물주는 월세를 받아 이익을 내지만 건물을 매수할 때에 대출금과 이자를 재산세 등을 납부하고 나면 남는 금액은 적습니다. 결국 전세를 월세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돈을 벌더라도 한참 기간이 남습니다. 즉, 대출금을 모두 상환하고 전세를 모두 월세로 바꾸는 과정에서 공실을 최소화 하면서 수익을 내야 하는 것입니다.건물주 중에서 오래된 건물주의 경우 이러한 대출금을 모두 상환하는 경우 여유로운 사람들도 많지만 비교적 나이가 젊은 사람이 건물주일 경우 상환해야 할 대출금이 많이 남아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여유로운 삶을 산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5일 작성 됨
Q.
땅을살때에는 가격이 어떻게측정이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토지의 가치는 그 토지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입지는 좋은지 나쁜지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인근에 있는 토지라 하더라도 해당토지가 주거용인지, 상업용지인지 공장이 가능한 곳인지 농지 인지에 따라서 크게 달라집니다. 활용가치가 클수록 이는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크기 보다는 가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서울의 토지를 생각해보면 상업용지가 많은 강남권의 경우 그 가치가 매우 높고 시골같은 곳의 농지는 농업에 사용되어 높은 건물을 지어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그만큼 가치가 낮아 가격이 낮게 됩니다. 같은 가격이라 하더라도 토지의 크기가 적을 수도 클 수도 있는것이죠.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