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5월 31일 작성 됨
Q.
인간의 뇌는 해부하면 쭉 펼칠 수 있나요?
뇌는 겉으로 보기에는 소장이나 대장이구불구불 뭉쳐잇는것 처럼보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뇌에 있는 주름은 표면적을 늘리기위한 전략에 의한 것이며 펴도 소장이나 대장처럼 길게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냉동인간은 실제로 가능한 실험인가요?
현재 기술로는 냉동인간을 소생시킬수 없습니다.하지만 부분적으로 냉동상태의 신장을 순간적으로 급속해동하는 기술인 나노워밍 기술이 개발된상태입니다. 나노워밍기술은 실험으로 냉동상태의 신장을 급속해동시킨 이후에도 신장이 기능하는것을 증명하였습니다. 이처럼 냉동인간을 소생시키는 추가 연구들이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실제로 냉동인간 소생이 가능해질지도 모릅니다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호랑이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몸이 굳는 이유가 뭔가요?
호랑이는 울음소리에 우리귀에 들리는 소리외에도 18Hz의 우리귀에 들리지 않는 초저주파의 음파가 섞여서 나오게 되고 이 초저주파가 사람이나 다른동물들로 하여금 공포를 느끼거나 몸을 얼어붙게 만든다고합니다.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혈액형이 바뀐 사람의 혈액을 다른 사람에게 다량 투입하면 부작용은 없나요?
골수이식이 성공적으로 끝난 후 혈액형이 완전히 변한 다음이라면 같은 혈액형을 가진 사람에게 수혈한 경우라면 부작용은 없습니다.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사람은 왜 혈흔을 무서워 할까요???
혈액공포증이라고, 영어로는 hemophobia라고 하는데요, 서양에서는 꽤나 흔한 공포증입니다.보통 피는 본인이나 다른사람이 외상을 입었을때 목격하게 되는것이 흔하기 때문에 피를 보는 장면이 곧 대체로 위험하고 위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피에 자연스럽게 거부감이나 불쾌감, 공포감을 느끼게 됩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