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기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현 전문가입니다.
권기현 전문가
세보건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는 어떤고속도로 인가요?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는 경인고속도로입니다. 경인고속도로는 1968년에 개통되었으며,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입니다. 좋은 답변 되었으면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10일 작성 됨
Q.
나이 먹어서도 할 수 있는 일을 알려주세요!
건설업 노가다를 한다고 해서 평생 일을 못하는건 아닙니다. 그러나 글쓴이님께서 다른 일을 하고 싶다고 하시면 기술 전문학교에서 미장, 도배 등 건설현장에서 배운거랑 비슷한 기술직을 찾아서 배워보시면 좀더 수월하게 일을 찾을수 있을거 같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집근처 하천이 범람하고있는데 괜찮나요?
주택말고 더 높은 고산지대로 올라가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1층을 비우실때도 챙길수 있는 물건만 챙겨서 이동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무리하게 너무 많은 짐을 옮기시다가 큰일이 일어날수 있으니 재난문자가 오시면 고산지대로 이동을 하시는것이 좋을꺼 같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인천대교를 지을 때 다리를 어떻게 바다속에 설치한 거죠?
서해에 다리를 설치할 때, 기둥은 바닷속 바닥까지 들어갑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됩니다파일 공법: 강철이나 콘크리트 파일을 해저에 박아 기둥을 지지합니다.케이슨 공법: 대형 콘크리트 박스를 해저에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웁니다.보강토 공법: 해저 바닥을 보강한 후 기둥을 설치합니다.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해저까지 기둥을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다리를 지탱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싱크홀은 무슨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땅속에 빈공간이 생기면서 그 곳으로 땅이 꺼지는 현상입니다. 원인은 지하수일 경우가 대부부입니다. 현재 도로나 도심지역에 싱크홀은 예전에 지하수가 있던곳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인해 수분이 충족 하지못하여서 지하수가 말라서 그공간이 생겨서 땅거짐이 발생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도로의 땅꺼짐현상의 가장 큰원인은 무엇인가요?
예전에는 도로에 아스팔트가 없고 흙들이 물을 많이 머금고 있엇는데 현재는 땅위에 시멘트등 도로를 포장 합니다. 그 결과 시멘트 밑에있는 땅에 수분기가 많이 없어져서 땅이 군데 군데 구멍이 많이 생기고 그 이후 갑자기 많은양의 물이 지하수로 유입되면서 흙을 가지고 가게 되어서 큰공간이 생깁니다. 그 공간은 따로 포장 도로가 힘을 다 지탱할수 없어서 땅이 꺼지게 되는것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수심 깊은 물 속에서는 어떻게 교량을 짓나요?
다리를 올릴수 있게 튼튼한 기둥을 시공하는게 제일 우선입니다. 기둥을 시공할때는 일단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물막이 벽을 박아 넣고 그 이후 조금씩 물을 빼고 바닥이 나올때까지 중간 중간 물막이벽에 힘을 지탱할수 잇는 철근을 시공 해서 조금씩 내려가서 바닥이 보일때까지 작업후 기둥을 시공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모듈러식 주택 단열은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전통적인 건축물보다 내진 성능이 낮을 수 있습니다. 단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맞춤형 디자인이 어려워, 디자인 선택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특정 제조사의 부품과 모듈만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주택보다 재판매 가치가 낮을 수 있습니다.유일한 장점은 빠르게 지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9일 작성 됨
Q.
오래된 아파트는 어떻게 치우나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주변 상가에 피해를 주지 않게 철거 하는 방법으로 위에서부터 조금씩 포크레인이 철거 하는 방식으로 철거 하게 됩니다. 가림막을 친 후에 물을 뿌리면서 먼저도 최대한 적게 나도록 철거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8일 작성 됨
Q.
거제대교에는 화재시 피할곳이 있나요?
거제대교는 해양 교량으로, 화재 시 피난을 위한 설비가 육상 터널과 같은 형태로 갖추어져 있지는 않습니다. 보통의 육상 터널에는 비상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거제대교와 같은 해상 교량에는 주로 교량 양 끝으로 대피하거나 구조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다리의 구조적 특성상 수중에 비상 설비를 갖추는 것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량을 이용할 때는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