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균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균석 전문가입니다.

박균석 전문가
환경관리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산 정상은 태양과 가까운데 왜 더 추운가요?
산 정상이 태양에 더 가까이 있다고 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 제일 높은 산인 백두산 정상의 높이가 2744m인데 반하여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는 1억 5000만km나 됩니다. 즉,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생각하면, 3km도 안되는 산의 정상은 그다지 태양에 가까이 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결국 산의 정상이 추운 것은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멀고, 가까운 것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즉, 산의 정상이 추운 것은 공기 때문입니다. 지구 주위에는 많은 공기로 덮여 있습니다. 이렇게 지구 주위에 있는 공기를 대기라고 하지만, 이 대기는 하늘 높이 올라가면 갈수록 공기의 양은 적어지고 엷어집니다. 그리고 압력도 낮아지게 됩니다. 공기에는 압력이 낮아지면 온도가 내려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위로 올라갈수록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열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양의 열은 직접 지구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단 지표면을 따뜻하게 하고 지표면을 데운 열로 공기를 따뜻하게 합니다. 결국 대기는 지표면과 가까운 곳이 먼저 따뜻하게 되는 것입니다. 산의 정상에는 공기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온도가 내려가고, 거기에다 공기는 지표면으로부터 따뜻하게 데워져 올라오므로 추워지게 됩니다. 계절이나 날씨에 따라서 다르지만 1000m 올라갈 때마다 약 6℃씩 내려갑니다. 예를 들어, 지표면에서 30℃ 일 때 높이가 1950m인 한라산 정상의 온도는 18.3℃가 됩니다.그러므로 지표면은 여름이라도 정상은 가을 날씨입니다.출처 : https://www.lgsl.kr/cur/HODA2012020031
물리
물리 이미지
Q.  완전히 밀폐된 공간에서 움직이는게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완전 밀폐된 상태는 진공 상태를 의미하지 않습니다.밀폐 상태는 외부와의 물질 교환이 없는 상태이기때문에 내부에서는 물질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또한 가정이란 실제로 가능한 것을 이야기하는 것 뿐만 아니라 "만약, 빛의 속도로 달리는 물체가 있다면" 등과 같이 실제로는 불가능한 부분을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서 화성거리가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화성까지 거리 : 근일점은 54,600,000 km 원일점은 401,000,000 km 평균 거리는 225,000,000 km지구에서 화성까지 걸리는 시간 : 6개월지구에서 달까지 거리 : 달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지구까지의 거리가 고작 2만 2,530km밖에 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지금은 평균 40만km로 최장 42만km까지 멀어졌습니다.아폴로 11, 12, 14, 15, 16, 17호가 달에 착륙하였습니다.출처 : https://www.kari.re.kr › cmm › fms › FileDownhttps://www.sciencetimes.co.kr/news/%ED%99%94%EC%84%B1%EC%9D%84-%EC%A0%9C2%EC%9D%98-%EC%A7%80%EA%B5%AC%EB%A1%9C-%EB%A7%8C%EB%93%9C%EB%8A%94-%EA%B2%83%EC%9D%B4-%EA%B0%80%EB%8A%A5%ED%95%A0%EA%B9%8C/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0022&key=202101291656042444&page=2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11&dirId=1117&docId=135712279&qb=64us7JeQIOywqeulme2VnCDsmrDso7zshKA=&enc=utf8&section=kin.ext&rank=2&search_sort=0&spq=0
화학
화학 이미지
Q.  세탁기가 고속 회전시 시끄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탈수 시 세탁물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경우 세탁통이 빠르게 회전하면서 불균형한 세탁물에 의해 세탁통이 흔들리면서 소음이 발생합니다.세탁기를 일시정지한 후 세탁물을 상하좌우로 균형있게 배치한 후 다시 작동 시키면 이러한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출처 : https://www.lge.co.kr/support/solutions-20150465968160
물리
물리 이미지
Q.  놀이공원에 있는 자이드롭의 원리가 궁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자이로드롭이 정지하는 원리는 영구자석 사이에 금속을 넣을때 생기는 전류인 와전류와 이 전류로 생기는 자기장의 반발력을 이용하는 와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합니다.와전류 브레이크를 위해 자이로드롭은 탑승석 뒤는 12개의 긴 말굽 모양 자석 타워 하단부 중앙에 12개의 금속판을 가지고 있는데, 이 둘은 낙하 도중 25m 높이에서 서로 만나게 됩니다.이때 와전류 현상에 의해 기둥의 금속판이 순간적으로 자석이 되고 더불어 타워의 금속과 자석사이에 강한 반발력이 생기면서 자이로드롭은 순간적으로 멈추게 됩니다.출처 : https://namu.wiki/w/%EC%9E%90%EC%9D%B4%EB%A1%9C%EB%93%9C%EB%A1%AD
화학
화학 이미지
Q.  젖은 종이가 마르면서 쭈글쭈글해 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종이가 물에 젖으면 종이를 이루고 있는 분자 사이로 물이 들어가면서 분자 구조를 흐트러뜨리게 됩니다.이렇게 흐트러진 분자구조는 물이 마른다고 해서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습니다.그렇기 때문에 물에 젖은 종이는 쭈글쭈글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 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보일법칙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보일의 법칙은 기체의 온도가 일정하면 부피와 압력은 반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어떠한 통안에 기체를 가두고 위쪽에 추를 많이 얹을수록 기체의 부피는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즉, 압력이 높아지면 기체의 부피는 줄어들고 압력이 낮아지면 기체의 부피는 커지게 되는데이것이 보일의 법칙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공기도 원자로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물질은 원자가 모여서 만들어 집니다.원자는 원자핵, 전자로 이루어져 있고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분자는 원자가 모여서 만들어 집니다.예를 들어 산소 원자 두개가 모여서 산소 분자가 됩니다.공기는 질소분자78%, 산소분자 21%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그밖에 1%는 아르곤, 이산화탄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원자의 크기를 나타낼 때는 흔히 Å(옴스트롱)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는 10의 -10승 미터즉, 0.0000000001m에 해당하는 단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더운날 마당에 물을 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마당에 물을 뿌린 뒤 시간이 지나면 물이 증발하게 됩니다.이때 물은 주변 공기중에 있는 열을 뺐어가서 그 열을 이용해 증발을 하게 됩니다.그렇게 되면 열을 빼았긴 주변은 시원해지게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빙상경기에서 패인얼음을 고치는데 무엇인가 뿌리고 있어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스링크에 가면 쉬는 시간에 얼음 면을 고르는 기계인 정빙기가 등장해 얼음판을 정비합니다.이때 정빙기 컨디셔너의 양쪽 끝 노즐에서는 세척용 물이 나와 뿌려집니다.이 물은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거친 얼음의 위쪽 층을 녹이고 부드럽게 해서 평평하고부드러운 표면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출처 : https://blog.naver.com/with_msip/221731378905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