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박주찬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1일 작성 됨
Q.
강아지 기도에 뼈가 걸리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장기찜을 하는 정도면 소량의 음식물이나 뼈 간식이 후두로 넘어간 것 같네요. 되도록이면 뼈 간식은 주지 않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응급처치의 경우 강아지의 입을 열어서 지도 확보를 한 후 하임리히법으로 변경을 눌러주시는 시도를 해보시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1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코골이가 너무 심해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이런 경우는 선천적으로 단두개 품종이 가지고 있는 선천적인 문제이므로 자연적으로 치료할 수는 없습니다. 해당 코골이의 경우 콧구멍이 선천적으로 좁아서 생기는 문제와 상부호흡기의 폐쇄 또는 좁아짐으로 인한 공기 와륨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진단과 평가를 위해 CT 촬영을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1일 작성 됨
Q.
힘이 너무 넘치는 고양이.. 캣휠을 사주어야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작성자분의 마음이라면 그렇게 캣휠을 사주시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하지만 캐휠을 처음에 구매하셔서 설치하는 경우 고양이가 아무래도 호기심도 많고 겁도 많은 동물이다 보니 처음부터 캣휠을 타는 경우는 사실 흔치 않아 점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1일 작성 됨
Q.
저희 강아지가 치아 상태가 너무 심하게 안 좋아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치아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스케일링 시술이 가장 정확하긴 합니다. 당연히 마취가 들어가서 위험 요소가 있겠지만 강아지가 나이도 어리고 흉부 방사선상 문제도 없고 간과 신장이나 혈구 수치가 괜찮다고 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 없이 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1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사람 손, 발톱을 먹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강아지가 사람의 손톱과 발톱을 먹을 수도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소화가 되지 않고 바로 분변으로 나올 가능성이 제일 높습니다. 하지만 당연히 먹지 못하게 하는 것이 맞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1일 작성 됨
Q.
고양이가 먹는 것을 가지고 장난을 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배가 그렇게 고프지 않아서 그런 행동을 하는 것 같고 또한 고양이들의 경우 사냥감이나 먹는 곳으로 장난치는 것을 흔한 일이긴 합니다. 하지만 사람과 살기 위해서는 그런 행동이 좋지 않으니 먹는 곳으로 장난치는 경우에는 바로 뺏어서 못하게 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0일 작성 됨
Q.
건식사료와 습식사료 혼합급여 중 습식사료 교체방법은 무엇잇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아내분의 말씀도 논리가 있고 작성자 분의 상황도 이해가 가긴 합니다. 원래 고양이들의 경우 환경의 변화 특기 시기 변화에 관해서는 굉장히 예민합니다. 그래서 고양이가 잘 먹을 수 있는 사료로 바꿔주시거나 또는 사료를 먹었을 때 구토나 설사를. 하지 않는 사료로 주시는 것이 가장 좋긴 하지만 고양이의 특성상 물을 굉장히 잘 안 마시는 특성으로 인해 습식사료도 같이 주시는 것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0일 작성 됨
Q.
고양이가 가구에 많은 스크래치를 내는데,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스트레스에 의한 행동이기보다는 고양이가 스스로 자신의 발톱을 날카롭게 하는 본능적인 행동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고양이 전용 스크래치판을 사셔서 설치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0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역재채기를 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코가 눌려져 있는 단두개 품종에서 이런 역체기가 상대적으로 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너무 심하지만 않다면 따로 치료는 하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호흡이 좋지 않고 또는 심지어 이런 이상한 호흡으로 인해 기절이나 실신을 하는 강아지의 경우는. 중부 방사선과 심장총 파차량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약을 먹어야 할 수도 있고 또는 수술적으로 교정을 해줘야 될 수도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0일 작성 됨
Q.
고양이와 강아지는 같은 종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와 강아지는 둘 다 포유류에 속하긴 하지만 개과와 고양이과로 종 자체가 전혀 다른 동물입니다.
131
132
133
134
1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