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박주찬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반려견이 설사 증상이 있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설사의 경우 굉장히 많은 요인이 있습니다. 식이성 요인 이물섭식 감염 종양 장기 부전 등이 있으므로 각 질환을 배제를 위해 병원에서 원인을 정확히 찾은 후 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기에는 비용도 많이 들어서 우선 증상에 대한 처치인 수액 공급과 같은 대증처치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1살령에 심한 설사를 하는 경우 많은 경우 파보나 코로나 홍역과 같은 감염성의 원인이 많으므로 병원 가셔서 검진 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턱을 뒤로 젖히면서 혀를 낼름거리는데 왜그러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아마 떨어져서 턱을 다친 경우는 아무래도 턱이 아프고 그러니 입을 못 다무는 그런 증상이 나타났을 겁니다. 뭔가 어릴 때 저렇게 낼름 거리면 주인이 어떤 액션이나 보상을 준다는 학습으로 인해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길고양이 눈이 이상해요..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나 강아지는 사람과 다르게 제 3안검이 존재하여 이렇게 눈을 가리고 있는듯 합니다. 물론 눈을 작게 저렇게 뜨면 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포도막염이나 심한 탈수가 있다면 눈이 퇴축되면서 사진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13개월된 암컷 블리가 이상해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노란분비물의 경우 오줌이 고여서 그럴 수도 있지만, 자궁이나 생식기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일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합니다. 질염이나 정말 드물지만, 그 나이때 자궁축농증이 올 수 있으니 강아지가 밥을 잘 먹지 않거나, 컨디션 저하가 확인되는 경우 지체말고 병원 가셔서 검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간 수치가 높게 나오면 어떤게 안좋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지속적으로 간 손상이 있다는 지표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간에 부담이 되는 음식 및 약물 중독물질 혹은 감염 등의 대사성 질환등이 있습니다. 간수치가 심하게 높은 경우 간보호제를 실시간으로 수액과 함께 투여해서 수치가 정상이 될 때 까지 투여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퇴원 후에도 간수치가 떨어졌는지 주기적으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강아지 양치하는 거 싫어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양치질 훈련은 어렸을 때부터 대략 3~4개월령에 칫솔 치약에 익숙해지는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나이가 1살 이상 부터 양치질할거라고 하면 굉장히 힘들도 강아지 혹은 사람 둘 중 한명이 다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실시해보고 너무 안 하려고 한다면 연 1~2회 정도 스켈링 시켜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고양이 몸무게가 너무 안나가는 것 같아요ㅜ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체중이 너무 늘지 않는다면 병원 가셔서 전반적인 검진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3키로 정도면 좀 마르긴 하지만, 너무 지방이 없는 고양이는 대체로 그렇게 건강하지 않습니다. 보통 이렇게 체중이 너무 늘지 않는 고양이들은 간이나 신장이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강아지 약 먹이는 방법 좀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보통 강아지는 가루로 약을 처방받습니다. 많은 경우 간식이나 사료 위에 뿌려주면 먹지만, 영리한 애들은 먹지 않습니다. 그러면 병원에서 공주사기 받아가시거나 캡슐 처방 받아서 먹여보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중성화 수술한걸 알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강아지는 그정도로 지능이나 감정은 존재하지는 않을듯 합니다. 수술 후 통증의 기억만 있을 뿐 그게 없어졌을거라는 생각은 하지 않을듯 하네요
반려동물 건강
2024년 2월 20일 작성 됨
Q.
강아지 앞발 절뚝거림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강아지 앞다리 절뚝 거림은 우선 발박닥이나 발에 상처나 찔린 가시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필요하며 그리고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관절염이나 골절의 여부 확인 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당 관리 받는 병원에서 방사선 촬영 해보시고 필요하다면 재활센터가 있는 동물병원가셔서 재활 치료 및 물리치료 해보시기 바랍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