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리츠 종목은 왜 이렇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22년도부터 23년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글로벌 금리인상시기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상대적으로 금리가 오르는 시기엔 리츠의 배당수익률 매력이 감소되고 또한 리츠의 운용회사들은 레버리지를 통해서 일부는 차입을 통해서 부동산을 매입하는데 이로 인해서 이자비용 증가도 그당시 리츠종목이 지지부진한 원인이었습니다.그러다가 23년도하반기부터 레고랜드 사태부터 PF상업용부동산 부실 문제가 터지면서 리츠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되었고 24년도부터 현재까지 주택시장만 과열되지 한국도 상업용부동산 크게 침체가 되면서 이런 흐름이 리츠 센티멘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것으로 보입니다. 거기다 상대적으로 한국의 리츠는 상대적으로 미국의 리츠보다 관심도가 적고 역사도 짧아서 여전히 유동성이나 거래량이 적은것도 소외된 이유로 보입니다
자산관리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은보다 금에 더 많이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은은 금보다 공급량이 더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주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은보다 금이 더 선호하고 귀했던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물질은 시간에 따라서 변해선 안됩니다 그러나 구리나 철 그리고 은도 산소랑 만나면 결국 변하게 되는 성질을 갖게 됩니다 이렇게 가면 가치가 사라지기 때문에 과거에도 이 은이나 다른 귀금속들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덜했던것이며 이런게 현재까지 이어져온것입니다. 그런데 금은 원소주기상 가장 무거운 원소중 하나이며 이로 인해서 항성도 금을 생성하는 단계까지가기에는 무리가 있는것이며 이로 인해서 금은 산소와 거의 반응하지 않고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그 모습 또한 금형태 그대로 유지가 되는것입니다 그러다보니 금 실물자산으로서 가장 가치가 높았던것이며 공급이 한정되어있다는점 이 두가지요소로서 은보다 금이 훨씬 자산가치로서 더 수요가 높았던것입니다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한국 돈(원)은 누가 만들고 관리하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원화의 발권력은 국내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모두 발권력을 갖고 있고 독점력을 갖고 있습니다. 즉 유통과 통황량을 모두 결정하는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조폐공사도 한국은행의 계열사이며 한국은행의 결정에 따라서 조폐공사가 화폐를 찍어낸다고 보시면됩니다. 또한 국내의 기준금리나 각종 공개시장조작 지급준비율 재할인율도 한국은행이 모두 관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비트 코인 불장은 드디어 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은 강세장이 계속 이어질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글로벌 M2유동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미국은 감세정책과 통화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풀고 있고 이를 위해서 단기국채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서 통화량을 확대하고 상업은행들에게 장기국채를 소화하여 통화유동성을 풀고 금리를 단기적으로 낮추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런 측면이 유동성의 증가와 자산의 가격 상승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오늘 새벽에도 금리인하 압박이 가해지면서 이러한 훈풍이 비트코인의 강세로 이어진게 이런측면과 다 관계가 있는것입니다 거기다가 저번주에는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모기지를 취급하는 공적금융기관이 프레디맥과 페이맥인데 이들이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명시를 직접적으로 해주면서 비트코인도 실질적으로 자산으로서 공적정부기관에서 인정하는 일이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즉 이런 효과로 인해서 기관들의 수급이 점진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될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지속적인 상승세는 쭉 이어진다고 생각됩니다
자산관리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국채발행 많이 하 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국채를 많이 발행하게 되면 발행자입장에서 그만큼 이자가 더 증가합니다. 왜냐하면 지속적으로 국채의 발행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매수하는 주체가 있어야 하는데 그만큼 공급량이 증가하니 가격이 하락하는것입니다 그러면 채권을 할인해서 발행해야하고 이는 그만큼 높은 수익률을 보장해야하니 표면이자가 더 증가하는것입니다. 즉 이자는 발생되는 이자비용이 증가하고 매년 정부의 이자비용이 천문학적으로 증가하게되는 구조가 되는데 현재 미 정부가 1년에 발생되는 이자를 세수수입으로 충당이 안되는 사태까지 발생한게 문제인것입니다 이로 인해서 매년 지속적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이렇게 채권의 발행량이 증가할수록 시장에서의 국채에 신뢰가 깨지게 될수 있고 만기가긴 상품보다는 만기가짧은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 만기가 긴 상품은 이렇게 증가된 국채로 인하여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는데 만기가 긴 상품일수록 만기가 되어야 원금이 회수가 되는데 그이전에는 표면이자만 받게되니 채권의 가격의 하락률이 더심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급하게 시장에다가 보유한 채권을 팔게 될경우 엄청난 손실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즉 국채를 발행한다는것은 결국 정부부채가 올라가게 되는 현상으로 이해하시면되고 각국의 정부부채는 결국 이 국채를 많이 발행해서 발생된결과입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