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정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지역 소상공인 디지털 마케팅 지원한다는데 매출 증대에 효과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마케팅지원을 해준다고 해도 문제는 소상공인이 어떤 플랫폼을 활용해야할지 그리고 어떤식으로 해당 재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지는 본인 능력입니다. 지금은 온라인 마켓팅을 한다고 해도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커등 다양한 채널이 있고 여기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도 제각각이며 이들을 보는 구매층들도 다 다릅니다. 그리고 신뢰가 매우 중요하며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도록 유도해야하며 소상공인도 20~30대는 적극적으로 어필하는것에 반해서 중장년층은 사람들이 유입될때 이런 대면마케팅으로 어필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즉 온라인 마켓팅에서 자신의 위치와 상품에 따라서 어떤 SNS와 어떤 인플루언서를 통해서 할지 그리고 이들의 예산과 단가는 어느정도인지 사전조사가 매우 중요하며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할때 다양한 자료를 챗 GPT를 통해서 각종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보내주어서 엑셀이나 관련 자료를 챗 GPT가 스스로 엑셀이나 data정리를 하도록 해주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즉 얼마나 소상공인업자가 이런 툴을 잘 활용하고 대면에서도 어필능력이 얼마나 할지는 본인 역량이며 이 부분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자산관리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생활비를 절약한다면 어떠한 부분에서 절약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고정비빼고 모든 부분을 줄이는게 핵심입니다 고정비에서도 출퇴근시 교통비가 차지하는 부분이 큰데 이부분에서 기후생활동행카드나 K패스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게 핵심입니다. 그러면서 커피값과 점심 저녁비용이 상당히 고정비지출에서 큰편인데 이부분도 최대한 얼마나 줄이는지 중요한 핵심으로 판단됩니다. 즉 평소 출퇴근시 발생되는 커피와 식대 교통비를 최소하하도록 하는게 중요하며 주말에는 간식이나 외식비용은 최대한 줄이며 해당 비용을 쓸때도 적극적으로 할인되어서 구매할 수 있는 기프티콘 쿠폰을 팔라고등에서 구매하거나 텀플러등을 사용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비트코인이 오늘 큰폭으로 오르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은 기본적으로 밸류에이션으로 평가받을 수 없는 자산입니다 즉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중요한 시장이며 즉 수급 상황이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다보니 글로벌 M2유동성이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현재 이 글로벌 M2유동성이 작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면서 최근엔 위험자산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국내 증시나 미국증시가 최고가를 보이는게 주요요인 된것입니다 그러다보니 상대적으로 덜 오른 비트코인으로 수급이 들어온것이며 거기다가 미국 트럼프의 금리인하 압박이 진행되고 있고 연준에서도 기준금리 인하기조이기 때문에 이런 영향이 비트코인의 강세로 이어진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다른 나라 증시도, 선반영과 셀온이 실제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주식은 미래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오르는 구조입니다 그러다보니 시장의 컨센서스와 가이던스 전망이 중요합니다 즉 미국이나 선진국에서도 현재 실적이 좋게 나와도 이후 진행되는 가이던스 전망이 부정적으로 나오거나 예상 컨센서스가 좋지 않으면 그 즉시 주가에 안좋게 반영됩니다. 이후에 이런 부분이 해소되면 다시금 주식이 오르는 즉 미래의 선반영이 되어서 주가의 흐름이 반영되는 것은 비슷한 구조입니다.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한국은 자원이 별로 없다는데 한국 경제는 어떻게 버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은 원래부터 자원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선진국반열에 오른 전세계 유일의 국가입니다 즉 자원이 없다고해서 다 불리한건 아닙니다. 자원이 없는만큼 근면성과 그리고 지금까지 축적된 자본으로 첨단산업의 기틀을 마련하고 그리고 다시금 세계경제에 도약할 수 있는 첨단산업의 경쟁력우위가 될때까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어느정도의 장벽으로 지원경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러면서 지금의 교육구조 개혁과 정부의 역할이 제대로 돌아서게 된다면 다시금 한국은 제2의 도약도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이 충분히 조성됩니다
416
417
418
419
4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