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와 부동산 전문가 김가연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와 부동산 전문가 김가연입니다.
김가연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0월 29일 작성 됨
Q.
현재 우리나라의 내수 시장이 어려운 것은 어떤 점이 문제가 되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코로나 이후 연속하여 러-우 전쟁이 발생해 세계 경제는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침체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물가를 잡기위해 금리를 올려야하는데, 경기가 안좋다보니 금리를 올리는게 직격탄이 되어 내수 경기가 아직도 좋지 않습니다. 기준 금리는 많이 내려갔지만 실제 조달금리(대출금리)는 아직 4~5%이상입니다. 쉽게 말해 월소득은 적은데 대출이자는 많이 나가니 실질적으로 주머니에 돈이 없어돈을 쓰지 않는거죠. 돈을 많이 써야 내수 경기가 살아나는건데 말입니다. 미국 금리도 내리고 있고, 경기선행지수도 점차 좋아지고 있어 내년부터는 좋아지리라 예상됩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환율이 1400원 이상가면 국내 금리가 상승한다는 의미?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를 올려 외화를 국내로 유입시키면 환율이 내려가는 쪽의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한국 금리가 오른다면 해외 투자자들에게는 원화가 수익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어 가치가 오르는 거죠.쉽게 생각하면 예금 금리가 높으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예금에 넣어두려고 하는 것과 비슷한 뜻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금리가 인상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는 유동성이 너무 풍부할 때 입니다. 즉,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려 있어 화폐의 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오르고 자산가격이 많이 오를 때 시중에 있는 돈을 다시 회수하는 위한 셈입니다.경기가 좋아서 물가가 오르는 경우: 과거, 이 경우에는 금리인상을 해도 자산가격이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나라가 돈을 잘 벌고 있고 잘 성장하고 있어서 물가도 오른 것이고 금리 인상을 해도 뒷심이 있는거죠.경기가 안 좋은데 물가가 오르는 경우: 코로나 이후~최근까지 경기는 안좋은데 물가가 올랐죠. 이를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물가가 오른 이유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가장 주요한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곡물가와 유가가 올랐기 때문입니다. 유럽의 빵 바구니라 불리는 우크라이나는 유럽 최대 곡물 수출국이며, 러시아는 유럽에 원유를 공급하는 주요국가인데 이게 막힌거죠.경기가 안좋아 국민들의 주머니에 돈이 없는데 물가가 올라 그 대책으로 금리까지 올리니 경기가 더 어려워졌고 자산 가격도 하락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은행 계좌를 여러 개 가지는 것이 신용에 좋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은행 계좌를 여러개 가진다고 해서 신용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없습니다.신용점수는 보통 과도한 신용카드 사용, 2,3금융권 대출금 정도, 현금서비스 사용 등으로 평가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원달러 고환율과 금리인하간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 인하를 더하면 환율이 더 오를 수도 있습니다.쉽게 생각하면 돈을 예금에 넣어둔다고 했을 때 금리가 낮으면 이자를 적게 받으니 굳이 한국이라는 예금에돈을 넣어두지 않아 외화자본이 바깥으로 빠져나간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원화의 가치가 내려가는 것이죠.환율이 더 오르면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물가가 오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96
97
98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