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물 옥상에 있는 냉각시스템에 가장 중요한것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도심건물옥상에서 보시는 냉각탑은 전체 냉각시스템의 중요한 일부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전달하고 방출하는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핵심 기술들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냉동 기술 (Chiller Technology) : 건물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통해 이동시키는 기술입니다. 냉매의 상 변화나 흡수식 방식을 이용하여 냉각효과를 만듭니다. 이 냉동기의 효율(COP/EER)이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열전달기술(Heat Transfer Technology) : 냉동기에서 흡수한 열을 냉각수로 전달하고, 이 냉각수의 열을 냉각탑을 통해 외부 공기로 효율적으로 방출하는 기술입니다. 냉각탑 내부의 구조(충진재 등)나 팬 성능 등이 이 효율을 좌우합니다. 시스템 통합 및 제어 기술 : 냉동기, 펌프, 팬, 냉각탑 등의 각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연결하고 외부 온도나 내부 부하에 따라 최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기술입니다.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같은 기술이 여기에 해당하며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냉각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열을 얼마나 적은 에너지로 빠르고 효과적으로 건물밖으로 내보내느냐의 효율성입니다. 이는 냉동 기술, 열전달 기술, 그리고 이를 통합 제어하는 기술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달려있습니다.
Q. ai 로봇의 진화 언제쯤 활성화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AI로봇의 진화와 실제 산업 현장 활성화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현재로 제조업 분야에서는 자동화 로봇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생산라인 등에서는 이미 로봇이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물류 센터와 같이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작업이 많은 환경에선느 로봇 도입 속도가 더욱 빨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쿠팡과 같은 대규모 물류 업체들도 이미 일부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10년이라는 기간은 AI기술 발전 속도와 로봇 가격 하락, 그리고 산업별 특성을 고려했을때, 현재보다 훨씬 다양한 분야에서 AI로봇이 활용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특히물류, 서비스업, 의료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인간의 업무를 보조하거나대체하는 모습이 더욱 흔해질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로봇 도입은 기술적 측면뿐만아니라 경제성, 안전규제, 사회적 수용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때문에 정확한 시점을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기술발전 추세를 보면, 10년안에 물류 센터를 포함한 여러 산업에서 AI 로봇의 활성화를 체감하게 될것으로 보입니다.
Q. 협업툴 도입, 팀 규모에 맞는 툴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10명 규모의 팀에서 프로젝트 관리, 일정,파일 공유, 메신저 기능이 필요하시다면 몇가지 무료 또는 저렴한 툴을 고려해볼수있습니다. Trello : 칸반 보드 형태로 프로젝트 관리에 직관적입니다. 작업 카드에 파일첨부, 마감일 설정 등이 가능하고 사용하기 쉽습니다. 무료 플랜으로 시작하기 좋습니다. Asana : trello보다 좀 더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에 용이합니다. 작업할당, 우선순위지정,다양한 보기(리스트,보드캘린더)를 제공하며 소규모 팀을 위한 무료 플랜이있습니다. Notion : 유연성이 매우 높은 툴로, 프로젝트 관리뿐만아니라 문서작성,위키 등 다양하게 활용할수있습니다. 원하는 형태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개인사용자는 무료, 팀은 저렴한 유료 플랜이있습니다. 이툴들은 대부분 무료로 사용해 볼수있으니 팀원들과 함께 몇가지를 직접 사용해보시고 가장 편하고 효율적인 툴을 선택하시는것을 추천해드립니다.
Q. 소형 위성 같은 경우는 큰 위성과 설계가 비슷할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소형 위성과 대형 위성은 기본적인 설계 원리(구조,전력,통신,탑재체 등)은 유사하지만 실제 설계방식에서는 차이가있습니다. 소형 위성은 크기와 무게 제약 때문에 부품의 소형화, 경량화, 그리고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사용이 중요합니다. 상용 부품을 활용하거나 모듈 형태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으며 비용 효율성과 빠른 개발 주기에 초점을 맞춥니다. 반면, 대형 위성은 특정 임무에 최적화된 맞춤형 설계가 주로 이루어지며 더 큰 전력과 탑재체를 실을수있어 복잡하고 고성능 임무 수행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같지만 설계의 복잡성, 부품 선정, 개발 과정 등에서 소형 위성과 대형 위성은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