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앞으로 인공지능이 도면이나 기계설비등을 한다면 일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의 발전으로 기계공학 분야에서도 일자리 변화가 예상됩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대비책이있습니다. 기술 재교육 : 기존 엔지니어들이 AI와 자동화 기술을 활용할수있도록 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융합 분야 개발 : 기계공학과 AI, 데이터 과학, 로봇 공학 등을 융합한 새로운 분야가 생겨나며, 이에 대한전문 인력이 필요합니다. 창의적 문제해결 : 인간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은 AI가 대체 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는교육이 중요합니다. AI 보조 설계 : AI를 활용하여 설계와 분석과정을 효율화하고 엔지니어들이 더 높은 가치를 창출할수있는 작업에 집중할수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대비책을 통해 기계공학 분야는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수있습니다.
Q. 기계 설계를 함에 있어서 기본 원리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기계설계에서 기본 우너리는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기능적 요구사항 : 설계의 목적과 기능을 명확히 정의하여 필요한 성능을 결정합니다. 재료 선정 : 기계의 용도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여 강도, 경량화, 내구성을 고려합니다. 기계적 원리 : 힘,운동,에너지 전환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계의 동작 원리르 설계합니다. CAD사용 : 컴퓨터 지원설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3D모델링을 수행하여 설계의 정확성을 높입니다. 해석 및 검증 : 구조해석,열 해석 등을 통해 설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검증합니다. 제작 가능성 : 제조 공정과 비용을 고려하여 실현 가능한 설계를 추구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기계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설계됩니다.
Q. 기계공학의 세부 내용을 보면 유체역학도 있던데 유체역학은 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유체역학은 유체의 물리적 성질과 운동을 연구하는 기계공학의 한 분야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체의 특성 : 점성,압력,밀도 등 유체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합니다. 유체 정역학 : 정지 상태와 유체에서 압력 분포와 힘의 균형을 분석합니다. 유체 동역학 : 유체의 흐름과 운동을 다루며, 베르누이 방정식,연속방정식 등을 학습합니다. 유동 유형 : 층류와 난류의 구분, 유동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정을 연구합니다. 유체으이 응용 : 항공기,선박, 펌프 및 배관 시스템등에서 유체역학의 원리를 적용합니다. 이 과목은 다양한 산업에서 유체의 흐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현재 나온 3D프린팅 기술로 어떤 걸 만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3D프린팅 기술은 생활용품,장난감, 가구부품,의료기기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들어, 맞춤형 컵, 휴대폰 케이스,장난감 피규어, 주방 용품 등을 쉽게 만들수있습니다. 초보자가 3D프린팅을 배우기 위해 필요한 기본 지식은 CAD 소프트웨어 사용법, 3D모델링 프린팅 프로세스이해입니다. 추천 장비로는 대중적인 FDM(융합 적층 제조) 프린터인 Creality Ender시리즈나 Anycubic이 있습니다. 자료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예:Udemy,Coursera)이나 유튜브에서 찾을수 있으며 커뮤니티는 Reddit의 3D프린터 관련 서브레딧이나 국내 3D프린팅 포럼에서 활동할수있습니다.
Q. 자동차 서스펜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자동차 서스펜셔는 차량의 주행 성능과 승차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기계공학적으로 서스펜션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설계 : CAD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서스펜션의 구조와 형상을 설계합니다. 이때 하중,강도,진동 해석을 고려합니다. 재료선정 : 강도와 경량화를위해 스틸,알루미늄,컴포지트 재료를 선택합니다. 프로토타입 제작 : 설계된 서스펜션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실제 주행 성능을검증합니다.시험 및 검증 : 내구성 테스트와 주행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평가하고 필요시 설계를 수정합니다. 대량 생산 : 최종 설계를 바탕으로 금형 제작후 주조,가공,조립 과정을 통해 대량 생산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스펜션은 차량의 안정성과 승차감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