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자꾸 입에 넣으러고 하는데 괜찮나요?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에 의하면 생후 0~18개월 사이의 아이들은 구강기에 해당됩니다. 이때 아이는 입을 통해서 탐색을 하고 감각적 즐거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생후 6개월경부터는 이가 나기 시작하기 떄문에 잇몸 간지러움으로 인해 물건을 물어오는 행동이 증가됩니다. 치발기, 딸랑이 장난감, 흡착 장난감, 감각놀이세트 등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의 발달을 지원해줄 수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방에 공기청정기를 계속 틀어야하나요?
요즘 같이 대기질이나 꽃가루 등으로 실내 공기가 좋지 못할 때는 공기청정기를 이용해서 실내 공기질을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의 건강 관리를 위해서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2달된 아기를 두고 당장 일을 나가야하는 상황입니다.
만약 맞벌이로 인해서 어린이집에 보내기를 희망한다면 돌봄제도를 활용해보는게 어떨까 생각이 됩니다.다만 영아종일제/시간제 돌봄서비스는 생후3개월 이상부터 이용이 가능한 제도입니다.어린이집마다 반편성이 정해져 있으니연락을 해서 알아봐야겠습니다.0세 같은 경우 교사 1: 아동2의 비율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아래 사이트를 통해서 입소를 희망하는 어린이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e-childschoolinfo.moe.go.kr/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4세, 길바닥 누워서 울기. 벽 발로차기 등 훈육
아이가 길바닥에서 울고 떼를 쓸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감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에게 도움이되는 칭찬은 무엇이죠?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칭찬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무조건적인 칭찬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가능하다면칭찬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또한 구체적으로 칭찬해줘야 합니다.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고, 아이의 존재의 소중함을 칭찬해주십시오. 아이의 자신감은 자존감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한 방법은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어린이에게 영어를 재미있게 가르치는 방법이 있을까요?
어린이에게 영어를 재밌게 가르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가능하면 일상생활에서 최대한 노출 빈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우리 주위에서 다문화 아이들이 손쉽게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겠습니다.배우고자 하는 언어를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노출시켜주면 효과가 클 것입니다.영어 같은 경우도 놀이 시간에 영어 동요를 들려주고,애니메이션을 보는 경우에는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서 보여주면 영어를 익히는데 도움이 된답니다.지인의 아이들을 보니 4,5세 때부터 꾸준히 영어에 노출시킨 결과 확실히 듣는 귀가 트이더라고요.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8세가 되면서 자기 주장도 강해지는게 맞는걸까요?
어떻게 보면 자기 주장이 강해지는 시기는 두 돌 이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시기부터는 아이들이 자율성과 독립성을 키워나가는 시기입니다. '내가 할래, 싫어'와 같은 자신의 의사를 강하게 표현하기도 합니다. 초등학교 1학년이라면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겠습니다.다만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게 좋겠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또래 아이들보다 말이 어눌한 경우 어떻게 교육을 시켜야 하나요?
딸 아이가 또래에 비해서 언어발달이 늦어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가 이로 인해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발달을 지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의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꾸준히 언어적 자극(책읽어주기, 아이와 대화하기, 동요 들려주기)을 주고 격려하며 기다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동생이 생긴 24개월 아이 생떼 어떡하나요
동생이 생긴 이후로 생떼를 쓰고 심지어 자학까지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흔히 동생이 생긴 후 느끼는 질투심의 행동으로 보여집니다. 보통 첫째 아이들이 둘째가 태어나면 질투를 많이 하고때로는 때리거나 괴롭히기도 합니다.혼자 있을 때는 어른들의 관심이나 사랑을 독차지 했지만, 둘째가 태어남으로 관심과 사랑이 동생에게 향하게 됐기 때문입니다.우선은 동생이 태어났지만 변함없이 너를 사랑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동생이 안아주거나 뽀뽀를 할 때 '○○야 동생 좀 안아봐도 될까? ○○야 동생한테 뽀뽀해줘도 될까?' 확인을 받는 것고 행동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첫째가 기분이 좋을 때 '엄마, 아빠가 동생만 예뻐해주는 것 같아서 많이 속상했지? 동생은 아직 어려서 엄마, 아빠의 돌봄이 많이 필요해서 그런거였어. ○○도 어렸을 때 그랬거든. 동생이 태어났지만, 엄마 아빠는 변함없이 ○○를 사랑한단다. 사랑해~' 이렇게 말해주며 꼬옥 안아주면 아이의 마음이 한결 풀릴 것입니다.아이가 동생이 있음에도 충분히 사랑받는다는 것을 느낀다면 차츰 개선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힘든 시기를 잘 이겨내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사춘기는 서서히 오는건가요?!!!
사춘기가 오는 시기가 어떻게 되는지 그 특성은 어떠한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또래와의 관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사춘기의 특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서로 공통의 관심사가 있기 때문입니다.연예인, 아이돌, 이성 친구나 신체의 변화, 성에 관한 이야기 등을 나누기도 합니다.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동굴로 들어간 곰이라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 밖으로 나올 때까지 기다려주면 될 것 같습니다.또한 아이를 기다려주고 옆에서 응원하고 지지해주면 이 시기를 건강하게 잘 지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남자 아이들은 사춘기를 10세에서 14세 사이에 맞게 됩니다.그러나 일찍이 9세에 시작되거나 또는 16세까지 지속되기도 하는데 이상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여자 아이 10~12세(초4~초6) 전후로 시작해서 15~17세(중3~고2) 사이에 끝나지만 사람마다 인격과 성격의 변화는 서로 다르고, 2차 성징의 시작 시기는 보통 여자가 남자보다 이르며,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습니다
1811821831841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