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떠돌이별은 어떤 원리로 은하와 은하를 이동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행성이 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태양계와 같은 항성계에 속하지 않은 행성은 혼 자 외로이 우주공간을 떠돈다.떠돌이별은 은하의 중력에는 포섭되지 않았지만 은하단 전체가 만드는 중력에는 구속돼 있다. 만약 떠돌이별이 최근에 만들어졌다면 은하 안에 있던 별이 조석력에 의해 점차 은하의 중력을 이겨내고 밖으로 나왔다는 의미지만, 초기 은하단에서도 떠돌이별이 있다면 우주 초기부터 떠돌이별이 만들어졌고, 은하단의 역학적 진화에 함께 참여했다는 의미가 된다. 기존 국제 천문학 주류 이론은 떠돌이별이 최근에 만들어졌다는 가설을 지지해 왔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하고별은 스스로 빛을낼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밤하늘에 떠 있는 반짝이는 천체들을 가리켜, '별'이라고 합니다.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밤하늘에 반짝이는 모든것이 '별'은 아닙니다.'별'은 '스스로 빛나는 천체'로 정의됩니다.예를 들면, 태양은 다른 어떤 천체의 도움없이 스스로 빛을 내고, 그 빛을 우리가 보게 되지만, 밤하늘에 보이는 목성이나, 금성, 그리고 화성 같은 천체들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합니다.따라서, 태양은 '별', 즉 항성이고, 목성이나 금성, 화성 등은 '별'이 아니라 '행성'이라고 합니다.왜냐하면, 이들은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태양빛을 반사시켜, 그 반사된 빛을 우리가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 외에 동주기 자전을 하는 위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위성은 모행성 주변을 공전하고 있고 이로 인한 조석작용으로 가까이 있는 위성 대부분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거의 일치한다. 즉, 동주기 자전을 한다. 간단히 말해서 행성에서 보면 항상 한 면만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다만 위성이 불규칙하게 공전하거나[7]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덜 받는 외곽의 위성들은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서로 다르기에 조석 고정이 성립하지 않는다. 한편, 극히 일부 위성들의 경우 자전주기와 자전축이 불규칙적인데 이는 근처의 큰 위성이 주변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로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가까이 접근하는 히페리온이나 명왕성의 작은 네 위성들[8]이 그 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