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매일 화장실은 가는데 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항문 불편 그리고 변비 아닌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배변 후에도 잔변감이 지속되는 경우, 이완된 근육이나 직장에 남아 있는 변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둘째, 항문 질환, 예를 들어 치질이나 항문 열창이 있을 경우에도 배변 후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장 운동 기능의 저하로 인해 변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넷째, 스트레스나 불안감이 장 운동에 영향을 미쳐 배변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 이비인후과에서 코검사 중 코 안쪽 연골뼈가 휘었다고 하는데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비중격 만곡증이 있으신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코의 중앙을 이루는 비중격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휘어져 있습니다. 포유동물의 비중격은 반듯하지만, 사람의 비중격은 다소 굽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비중격 만곡의 비율은 남성의 경우 78%, 여성의 경우 68% 정도이며, 대체로 남녀 모두 좌측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비중격이 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많으며, 이를 질병으로 간주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비중격 만곡으로 인해 코막힘, 후비루, 수면 장애, 수면 무호흡 등의 병적인 상황이 나타나는 경우 '비중격 만곡증'으로 불립니다.비중격 만곡은 선천성 발육 이상, 외상, 압박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된 증상은 구부러져 튀어나온 쪽의 코막힘이 심하다는 것입니다. 축농증 등 만성 코 질환이 없는데도 항상 코가 막히고 목에 가래가 있다고 호소하는 환자들은 비중격 만곡증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비중격 만곡증 환자는 감기만 걸려도 코가 완전히 막혀서 입으로만 숨을 쉬어야 합니다. 또한 심한 코골이, 수면 장애, 주의 산만, 코 주위의 통증, 기억력 감퇴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비중격 만곡은 코 안을 진찰하여 간단히 진단할 수 있으며, 동반된 질환을 찾아내기 위해 내시경 검사, 방사선 검사,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코 구조의 이상을 약물이나 기타 방법으로 교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 호전을 위해 약물 요법을 사용하며, 이 경우 증상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중격 교정술은 비중격 발육이 완성되는 17세 이후에 시행할 수 있지만, 만곡이 심하여 증상이 심각한 경우 그 이전에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소아의 경우 수술을 하더라도 비강 구조물이나 안면골 발육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보다 제한적이고 보존적인 수술을 시행합니다.비중격 만곡증이 발생하면 비후성 비염이 생길 수 있으며, 감기와 같은 급성 비염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비강 내 기류 변화로 점막이 건조해지면 가피(딱지)가 생겨 비출혈(코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 부비동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비중격 만곡 수술 후에는 부기가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심하지 않습니다. 콧구멍 안에 지혈을 위해 거즈를 넣은 경우 수술 후 이틀이 지나면 제거하며, 거즈를 제거한 후에도 며칠 동안 코가 막힌 듯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술한 비중격을 지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막을 코 안에 넣어 두며, 이는 보통 5일에서 7일 후에 제거합니다. 수술 부위가 감염되지 않도록 감기에 걸리지 않게 조심해야 하며, 날짜에 맞춰 소독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술 부위가 약해져 출혈의 위험도 있으므로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Q. 최근에 목감기에 걸렸었는데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목감기가 나은 후에도 지속되는 잔기침은 흔히 후유증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감염 후 기도 점막이 예민해지거나 염증이 완전히 가라앉지 않은 상태에서 자극을 받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잔기침을 줄이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따뜻한 물이나 허브 차를 자주 마셔서 목을 촉촉하게 유지하면 기침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기침을 유발할 수 있는 자극물, 예를 들어 담배 연기, 먼지, 강한 냄새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해제나 거담제 같은 약물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의사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잔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곤란, 발열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