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공복 혈당 관련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공복 혈당이 120mg/dL로 나온 경우는 당뇨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으나, 한 번의 측정 결과만으로 당뇨를 확진하기는 어렵습니다. 공복 혈당 정상 범위는 일반적으로 70-99mg/dL입니다. 100-125mg/dL는 당뇨 전단계(전당뇨)로 간주되며, 126mg/dL 이상은 당뇨병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전날 저녁 늦게 치킨과 맥주를 섭취하고, 밤에 아이스크림을 먹은 후 아침에 영양제를 복용한 점을 고려하면, 이는 공복 혈당 수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공복 혈당을 여러 번 측정하고, 당화혈색소(HbA1c) 검사를 통해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B형간염 3차예방접종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B형간염 예방접종의 경우, 일반적으로 3회 접종이 권장됩니다. 2차 접종 후 항체검사에서 양성(즉, 항체가 형성된 상태)이 나왔더라도 3차 접종을 맞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3차 접종이 항체의 강도와 지속 기간을 더욱 강화하여 장기적인 면역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이전 백신 완료자가 항체가 없어 다시 접종하는 경우에는 약간 달라질수 있습니다. 이전에 B형간염 백신을 3회 접종한 사람이 수년 후 건강검진에서 B형간염 항체가 없다는 결과를 들은 경우, 재접종이 필요한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B형간염 백신을 세 번 접종하면 성인의 약 90%는 적절한 표면항체가 형성됩니다. 하지만 이 항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게 되어 5년 후에는 750%, 10년 후에는 30~60% 정도에서 항체가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면역기능이 정상적인 사람은 항체가 측정 가능한 수준이 아니더라도 면역체계가 기억하고 있다가 감염 시 즉각 방어 반응을 일으키므로 B형간염에 걸리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은 백신 접종 후 별도의 항체 검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항체가 음성으로 나와도 추가 접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혈액투석 환자, HIV 감염인, 직업적으로 B형간염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 B형간염 항원 양성인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 가족 중에 B형간염 보유자가 있는 경우에는 백신 접종 후 13개월 내에 항체가 형성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B형간염 백신을 3회 접종하고도 항체가 10 mIU/mL 미만인 경우를 무반응자라고 합니다. 만약 B형간염 고위험군에서 3회 백신 접종 후에도 항체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3회 재접종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무반응자의 재접종에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비용 효과를 고려할 때 첫 번째 접종(4차) 후 1개월째 항체 검사를 하여 항체가 형성되면 접종을 중단하고, 항체가 10 mIU/mL 미만이면 2차와 3차 접종(5, 6차)을 모두 완료한 후 마지막 접종(6차) 12개월 후에 항체 검사를 하는 방법이 권장됩니다. 총 6회의 백신 접종 후에도 적절한 항체가 형성되지 않는 완전 무반응자는 일반적으로 더 이상의 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