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심성의껏 답변드리겠습니다.
한성미 전문가
제주관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치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크라운한이빨잇몸에서 피가 자주나는데 다시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송곳니와 작은 어금니 사이가 떨어져 있다는 말씀이신가요?그럼 치과에서 붙이기 전에 다시 만들어줬어야 하는데 왜 그랬을까요ㅎㅎ혹시 특별한 이유가 있었던건지 궁금하네요..어쨋든 아마 음식물이 지속적으로 끼이고 제 때 닦이지 않아 점점 잇몸이 부으신 것 같습니다.보철물의 수명은 10년 전후로 보는데 임상적으로는 관리가 잘 되고 별 문제 없다면 계속 쓰라고 말씀을 드립니다. 그런데 크라운이 처음부터 문제점이 있었고 이미 10년이 지났다면 새로 만드시는 것이 가능하다면 고려를 해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잇몸치료도 병행하시면 좋겠습니다.
치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신경치료를 마무리 했는데도 시큰거리는데 치료가 잘못된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안타깝네요....신경치료는 성공률이 임플란트보다도 낮아요.한 60~90프로정도..치아는 다들 비슷하게 생겼지만 그 안의 신경은 특이하게 생긴 경우도 많고 신경치료 특성상 안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손의 감각만으로 치료를 하거든요. 치료하신 치아가 큰어금니라면 좀 더 어려운 편입니다..만약 증상이 앞으로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그대로 씌우지 않거나 크라운 중 가격이 제일 낮은 메탈재질의 크라운을 씌워 치아의 수명이 다 할 때까지 사용하거나, 발치 후 임플란트를 바로 하실 수 있는 시간적, 경제적 여건이 되신다면 기다리지 않고 발치를 할 수도 있습니다..
치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사랑니는 평생 안뽑아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네 다른 치아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잘 나면 깨끗이 관리하시면서 써도 되요.그런데 사랑니의 깊은 위치까지 칫솔이 들어가기가 생각보다 어렵답니다^^그래서 대부분 사랑니를 놔두면 썩어서 빼게 돼요..
치아 관리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치아 미백할 때, 약품은 인체에 무해한 수준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치아미백용 약품의 유효성분은 과산화수소입니다.소독용으로도 자주 쓰이지만 미백제에는 소독용보다 훨씬 고농도로 들어갑니다.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는 흡입 또는 섭취시 독성과 강한 자극성이 있으므로 취급 시 주의해야합니다. 그래서 치아미백을 할 때에도 절대 잇몸에 닿지 않게끔 보호제를 바릅니다.임신을 하면 안그래도 치아나 잇몸이 예민해지는데 물론 약품을 안전하게 전문가가 사용하여 시술하고 치아에만 바르고 제거를 하는것이지만 굳이 이시기에 치료목적이 아닌 미용시술을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치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치아교정중인데 유지장치언제까지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아무래도 치아가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고 그 성질은 교정 종료 후 1년까지는 매우 강하다고 해서 1년동안은 필수로 탈착식의 유지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가능하다면 오래 사용할수록 더 좋긴 합니다. 왜냐하면 1년이 지났다고 해서 치아가 원래 자리로 돌아가지 않는 게 아니고 일반적으로 치아교정을 한 기간의 2~3배의 기간동안은 안심할 수 없거든요. 그렇다고 치아에게 '너 유지장치 빼면 또 원래자리로 돌아갈꺼니?언제까지 그 버릇 못고칠꺼니?'하고 물어볼 수도 없는 노릇이구요ㅎㅎ그러니 안전하게 충분한 기간동안 끼는게 좋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보통 고정식 유지장치와 병행을 하기때문에 탈착식 유지장치는 1년경과후에는 필수는 아니니 교정하신 치과에 문의해보시길 바래요. 다만 치아는 원래 조금씩 움직이고 나이가 들 수록 앞쪽으로 몰리는 자연스러운 변화가 있을 수 있으니 조금의 변화도 허용하고 싶지 않으시다면 유지장치를 계속 사용하시는게 좋아요.
786
787
788
789
7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