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줄기세포 연구 및 신약 개발업 전문가 안근호 입니다.

줄기세포 연구 및 신약 개발업 전문가 안근호 입니다.

안근호 전문가
고려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 유전자 편집 기술이 발달하면 윤리적 고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유전자 편집기술을 사람에게 대입하는 부분과 동반된 윤리적인 부분은 유전자 편집기술의 시초부터 이야기가 되던 부분입니다.예시로 복제인간 또는 유전자를 편집하여 특정 선호하는, 우월한 아기가 나올 수 있도록 한다던지 하는 부분들이죠.이러한 유전자 편집기술들은 기술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인간이 100%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예측 불허한 유전자 변형 동반 등) 쉽사리 인간에게 적용시키기 어렵기도 하고모두가 다 마음에 드는대로 변형을 유도한다면, 인간 유전자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도 있습니다.따라서 특정 질환 유전자만을 변형하는 수준에서의 타겟 유전자치료제 개발이나제한적인 자원의 보강을 위한 GMO 식물 개발 등이 현재는 제품으로의 개발들이 진행되고 있으며다른 부분들에 대해서는 세계적인 사회적인 합의나 규제 등이 조금 더 필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은 왜 아보카도를 먹어도 아무렇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아보카도는 먹으면 문제가 있는 종들이 있긴합니다.예를 들어 개나 고양이, 말과 같은 동물들은 페르신이라고 하는 물질에 대해 면역력이 없기 때문에구토, 설사, 심장이상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개,고양이 제외 쥐, 토끼, 돼지 등)에서 문제가 없으며파충류나 새들 또한 아보카도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르'소리가 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우리 몸은 배가 고플 때 뇌로부터 신호를 받아 장 운동을 시작합니다.장 운동은 소화되지 않은 음물 찌꺼기와 가스를 장 끝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이 과정에서 장 벽면이 서로 마찰되면서 '꼬르륵' 소리가 발생합니다.공복 상태에서는 위와 장에 음식물이 없어 공기만 차 있기 때문에 소리가 더욱 크게 울릴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균이나 바이러스 중에는 우리 몸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간단한 예시로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등이 있죠.흔히 말하는 유산균입니다. 장내세균(미생물)로서 영양소의 흡수, 면역 체계 강화, 유해균 억제 등 기능을 해주죠.발효균인 젖산균, 효모균도 있고(김치, 치즈), 항생제를 만들어 내는 피니실리움도 있고 다양합니다.바이러스 또한 유전자치료제의 매개체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따라서 모든 세균, 바이러스가 유해한 것은 아니다 라는 점도 아시면 좋을 것 같고그렇지만 유해한 균, 바이러스가 더 많다는 점을 감안하셔서 상황에 맞게 판단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은 파충류 인가요?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먼저 말씀드릴 부분은 파충류도 동물에 속합니다.악어의 경우, 분류학에서는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계: 동물계 (Animalia)문: 척추동물문 (Chordata)아문: 양측대칭동물아문 (Bilateria)상강: 척추동물상강 (Vertebrata)강: 파충류강 (Reptilia)목: 악어목 (Crocodilia)과: 크로커다일과, 앨리게이터과, 가비알과공룡이 실제 존재한다고 해도, 사람도 동물계-척추동물문-포유류강에 속한다고 보기 때문에공룡 또한 공룡 종류에 맞게 현재 분류학 체계에 맞게 구분이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따라서, 악어를 파충류라고 해도 맞고, 동물이라고 해도 맞는거죠 ^^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 곤충 이름이 궁금 합니다 주말농장 에서 차 안으로 들어 왔는데 5cm 정도로 아주 작은 곤충 입니다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사진 상 초점이 조금 아쉽지만, 갈색날개매미충 인 것 같습니다.http://www.indica.or.kr/xe/Insect/5023283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건 무슨벌레인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사진으로만 봐서 사이즈 등이 불분명하여 조금 애매하긴 하지만,더듬이긴노린재가 아닐까 싶습니다.https://www.naturing.net/o/1805339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삼투현상이 일어나는 반투과성 막이 있는 공간은 진공상태인가요? 아니면 진공에 가까운가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삼투현상은 용매가 막을 통해 농도가 낮은쪽으로 이동하는 압력을 의미하고, 진공 상태는 압력이 0인 상태를 의미합니다.삼투압 현상이 종료된 시점이 오히려 진공 상태와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삼투압과 진공상태는 다른개념이라 압력, 반투막의 역할, 외부 환경 영향 등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적 제재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아마도 의약품 쪽으로 궁금하셔서 질문을 하신것이라고 생각되는데요.간단하게 우리가 흔하게 접하고 있고, 약국에서 판매하고 있는 약들은 대부분 화학적 제재(합성의약품)로 보시면 됩니다.다만, 코로나 백신이나 혈액제제를 포함하여 병원에서 전문의약품으로서 많이 들어보셧을 세포치료제나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첨단바이오의약품 등을 생물학적 제제로 보고 있습니다.합성의약품의 경우는 제조가 편하고, 안정적이며 저렴하고 다양한 종류가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대부분 부작용을 동반하며, 오랜 기간 복용 시 효과가 감소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생물학적제제(바이오의약품)는 합성의약품과 거의 반대로 부작용이 적고,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제조가 어렵고, 합성의약품에 비해 안정적이지 못하며, 종류가 많은것 보다는 표적치료로 개발을 많이 합니다.따라서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갸품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개발들을 하고 있으며, 환자의 질병, 상태 등을 고려하여적절한 의약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태 피라미드에서 인간은 가장 위에 있는 소비자라고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근호 박사입니다.다른 전문가 분들이 현실성 있는 답변들을 이미 많이 달아주셔서, 저는 제 철학적인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먼저 예시로 말씀해주신 부분처럼 사람과 곰, 늑대가 싸우면 사람이 지겠죠?그럼 곰이 이기니까 곰이 피라미드의 최종소비자 일까요?곰은 항상 이기기만 할까요? 그건 아니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곰도 1마리의 늑대는 이길 지 몰라도 늑대무리에는 당할 수 있고, 사람도 맨몸으로는 이길 수 없겠지만총과 총알이 있다면? 얘기는 달라지겟죠?그래도 사람이 먹이사슬의 가장 최정점이라고 평가받는 이유는지능이 높고, 사회적인 동물이며 도구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들이 가장 큰 부분일 거고 실질적으로 인간이 모든 동물/식물들을 보호 및 관찰 등을 포함 해서 관리하고 있죠. 그러면서 소비(?)도 하고 있구요 식재료 등과 같이 말이죠.그렇지만 사람은 소비만 하는 지배층 개념보다는 조금 더 나은 위치에서 다른 동/식물들을 관리해주는 관리자 개념으로 보시면 좋지 않을까 하는 의견입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