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이동광 전문가
카이로스 아카데미
역사
역사 이미지
Q.  18세기의 인구증가율이 둔화된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18세기 후반부터 인구가 정체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9세기는 기후학적으로 볼 때 전세계적으로 '마지막 소빙기'에 해당되어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한 시기였습니다. 이로 인해 홍수 혹은 가뭄 등재해와 기근이 빈발하게 되었고, 그것이 인구 및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있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구한말이라고 부르는 기준점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구한말"은 조선 시대 말기인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엄격하게는 대한제국 시대만 일컫는 어휘지만,뜻이 확장되어 국호를 바꾸기 이전인 조선 말기까지 통틀어 일컫는 데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화기와도 상당 부분 겹치기도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후백제와 후고구려 중 어느 나라가 건국 선포를 먼저 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후백제는 900년, 후고구려는 901년에 각각 건국되었습니다. 즉 후백제가 먼저 건국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의 용두암에는 어떤 전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용두암의 전설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전해 내려옵니다. 제주 용담동 바다 깊은 곳에 용이 되고 싶은 이무기가 살고 있었습니다. 긴 세월 용이 되고 싶은 꿈만을 키우며 어둠을 이겨내고 있었습니다. 바람이 얼마나 간절하던지 천 년이란 세월도, 빛을 볼 수 없는 어둠도 모두 이겨내었는데, 그 승천하던 날. 드디어 번쩍이는 푸른 빛 비늘과 길다란 수염, 그리고 날카로운 발을 치켜들고 하늘로 기세등등 승천하는데 그만 한라산 신이 쏜 화살에 맞아 다시 바다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바다에 떨어지던 용은 긴 세월 참고 참은 바람이 물거품이 됨에 억울하여 차마 죽지 못하고 머리를 바다 위로 치켜들어 포효를 하다 바위가 되고 말았다는 전설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은 언제부터 와사비를 만들어 먹었나요. 우리나라말로는 고추냉이라고도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일본인들이 와사비를 처음 먹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혹자는 조몬시대(약 1만2000년~기원전 3세기)부터 약용으로 먹기 시작했다고 하지만, 와사비에 대한 내용이 처음 발견된 것은 아스카 시대(6세기말~701년) 유적에서 입니다.이어진 나라시대(710년~794년)의 에서도 '山葵(와사비)'의 이름을 찾을 수 있는데, 와사비가 특산품으로 이미 납부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헤이안시대(794년~1185년) 때는 식물 의학 사전에 '와사비'라는 단어가 나오고, 율령 세칙 품목에 와사비가 언급돼 있는 것을 봐서는 10세기경에는 와사비가 약용과 세금용으로 쓰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와사비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가마쿠라시대(1185년~1333년)에 들어서 입니다. 이 시기에는 쇼진 요리(精進料理, 고기를 사용하지 않는 채소 요리)가 발달했는데 여기에 와사비가 함께 나왔다고 합니다. 불교 선종의 절을 중심으로 자생 와사비를 채취해 요리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