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동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동근 전문가입니다.
유동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연봉재계약 거부를 이유로 하는 해고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봉재계약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어서요. 회사에 5월 30일자로 1년이 되는 경력직이 있는데, 연봉재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그런데, 임금 조건이 안 맞아서 협상이 안 이루어지고 있어요. 계속 거부한다면 해고까지 하려고 하는데 그때 해고가 정당할까요..?☞ 근로조건을 안 맞는 경우 해고보다는 권고사직을 하시길 권유드립니다. 해고와 권고사직에는 차이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최저임금 위반인지 좀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저임금 월급으로 1,822,480원입니다. 평균 주 40시간이기 때문에 매월 1,822,480원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시급은 8,720원으로 209시간으로 계산이 됩니다.
휴일·휴가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임산부의 일숙직이 휴일근로 허가 대상에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70조(야간근로와 휴일근로의 제한) ① 사용자는 18세 이상의 여성을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시간 및 휴일에 근로시키려면 그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② 사용자는 임산부와 18세 미만자를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시간 및 휴일에 근로시키지 못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1. 18세 미만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2. 산후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여성의 동의가 있는 경우3. 임신 중의 여성이 명시적으로 청구하는 경우③ 사용자는 제2항의 경우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받기 전에 근로자의 건강 및 모성 보호를 위하여 그 시행 여부와 방법 등에 관하여 그 사업 또는 사업장의 근로자대표와 성실하게 협의하여야 한다.
휴일·휴가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코로나 자가격리 재택근무자 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지원내용: 100만원 일괄 지급□ 신청방법ㅇ (온라인 신청) 2021년 4월 12일(월) 09:00 ~ 4월 21일(수) 18:00- 신청홈페이지(covid19.ei.go.kr)에서 신청(PC만 가능)ㅇ (현장 신청) 2021년 4월 15일(목) 09:00 ~ 4월 21일(수) 18:00* 업무시간(9~18시) 내 신청 가능(18시까지 방문자에 한함)- 신분증 및 제출서류 지참 후, 거주지 또는 근무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코로나19 방역 차원에서 현장 신청 첫 이틀(4.15.~4.16.)간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홀짝제 운영
임금·급여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체당금에 대해 궁금합니다-근로자입장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체당금을(퇴직자입니다) 지급받기위해 민사소송을 하였고 승소하여 체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그런데 체당금을 수령한후 회사에서는 근로자가 체당금을 수령했다는걸 모르고 밀렸던 급여 일부를 입금해주었습니다.근로자는 회사에다 체당금을 받았기에 급여를 다시 돌려주겠다고 얘기는 했는데 아직 계좌번호를 몰라서 못돌려줬습니다. 근로자가 계속 안돌려줄시 문제가 생긴다면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자처럼 계산해서(밀린급여) 근로자가 수령해도 괜찮은지도 궁금합니다☞ 안돌려주는 경우 민사소송으로 받으셔야 합니다.
휴일·휴가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계약기간 끊김없이 다시 입사하게되 며칠 연차를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유급휴가)①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②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④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재계약을 하는 경우 연차를 다시 산정해야 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포괄임금제로 주52시간 근무가 급여 포함시 주52시간 초과된 근무에 대해 적용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주52시간까지 급여가 포함되어 있는 포괄임금제 사용시 주 52시간을 넘는 경우에 대체휴가나 수당을 지금해도 되나요?☞ 주52시간을 넘는경우 대체휴가나 수당을 지급해도 문제가 없습니다.2.주52시간 초과근무시에만 휴가로 보상해도 문제가 있을까요?☞ 주 52시간 초과근무시에만 휴가로 보상해도 무방합니다.3.포괄임금제 자체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가 있을까요?☞ 포괄되는 근로시간보다 실제 근로를 하는 경우에는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육아휴직제도 관련 궁금증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육아휴직 엄마 아빠 각1년이라고하던데 엄마나 아빠가 한명이 몰아서는 사용이 안되나요? 엄마 아빠 각1년이 아니고 엄마가 아빠꺼까지 2년사용 (같은회사 사내부부) 이렇게는 안되나요??☞ 육아휴직제도는 아빠나 엄마나 1명에게 1년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전년도 평가결과에 따라 달라지는 성과급이 통상임금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통상임금은 소정근로에 대한 대가로,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한 대가를 말합니다. 여기서 최소금액이 지급하는 경우라면 이에 대한 통상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1년 5월 11일 작성 됨
Q.
토요일과 회사창립일이 겹친 경우 그날 근무하면 수당은 어떻게 주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56조(연장ᆞ야간 및 휴일근로)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③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5인이상 사업장에서 토요일이 유급휴일인 경우라면 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581
582
583
584
5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