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실시한 개혁 정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
최충헌은 무신정권을 장악한 후 1196년 국왕 명종에게 '봉사십조'를 올려 개혁을 제시했습니다. 이 개혁안은 왕이 정전을 사용하도록 해 왕권을 강화하고, 불필요한 관직을 줄이고, 불법 점유된 토지를 원래 주인에데 돌려주는 등 국가 기강을 바로잡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불법적인 조세 징수를 막고, 승려의 정치 개입을 금지하며, 지방관의 관리를 강화하고, 관료들의 사치를 억제하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개혁을 추진하려 했습니다. 대간(언론 기능)의 역할을 활성화시켜 왕권 중심의 행정 질서 회복도 목표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최충헌의 개혁은 권력 안정과 정권 유지에 더 중점을 두었고, 이런 개혁들을 통해 자신의 독재 기반을 공고히 하는데 몰두했습니다.
Q. 나이팅게일의 간호 철학과 오늘날 간호사의 역할을 비교해보면 어떤 차이가 있나요?
나이팅게일은 질병 예방과 치유에 있어 환자가 처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환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려 했습니다. 그녀는 신체적 증상 뿐만아니라 심리, 사회적 영역까지 고려하여 인간을 전체적으로 케어하는 점을 철학적 중심으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간호는 의사의 단순 보조가 아니라 환자 회복의 독립적 영역이라 여겼습니다. 또한 그녀는 실무 경험과 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보를 중시하였으며, 기록의 체계화, 병원의 조직적 관리 등 간호를 과학적 체계적 학문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오날날과 비교하면 나이팅게일의 간호 철학은 환자의 건강이 주변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 깨끗한 공기와 물, 적절한 환기와 위생을 통해 환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녀는 간호사를 단순히 의사를 돕는 사람이 아니라 환자를 전인적으로 돌보는 전문 직업인으로 정의했고, 질병 예방과 환자 개개인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간호를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근대 간호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오늘날 간호사의 전문성과 역할 확대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Q. 살라딘은 어떤 왕조들을 통합하고 정치력을 보였나요
살라딘은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집트를 장악하여 아이유브 왕조를 세웠습니다. 시리아 누르 앗딘 사후, 다마스쿠스 등 시리아 주요 도시를 점령했으며, 팔레스타인의 예루살렘과 주변 십자군 국가를 정복하며 실질적인 통합을 이뤘습니다. 또한 그는 홍해를 넘어 예멘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습니다. 그는 수니파, 시아파 등 종파를 통합하였으며, 현지 지방 유력 가문과 현지 엘리트의 협력을 유도하는 동시에 필요한 단혼한 군사적 진압도 병했습니다. 또한 그는 예루살렘을 정복한 후에도 보복없이 관용적으로 처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