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천거제가 어느정도 도입이 되긴했나요
천거제도는 관직에 있는 인사나 중앙 관료, 지방 유력자가 덕행, 학문, 효행 등 뛰어난 인물을 직접 추천하여 관직에 등요하는 제도입니다. 조선 초기에는 유일천거, 효행천거, 성균관공천 등이 대표적입니다. 후기로 갈수록 산림 세력의 진출 통로로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정기적 천거제도와 비정기적 별천법 등 제도적인 형태도 있었으며, 실제로 초직부터 당상관까지 다양하게 천거를 통해 지출한 사례가 확인됩니다.과거제의 품질 저하나 부정이 심해질 때 천거제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중종 재위시 조광조는 현량과라는 천거를 통해 많은 사림이 중앙 진출을 지원하였습니다.
Q. 조선시대 역원이라는곳이 정확히 어떤곳인가요
조선시대 역원은 역과 원을 의미합니다. 역은 국가에서 관리하는 중요한 인력 및 물자, 사신의 이동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한 공적 교통 및 통신 조직입니다. 역에는 관리가 여행하기 위해 말을 갈아 탈수 있도록 준비하고, 숙박 지원, 관용품 운송 등의 여러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마패를 가지고 있으면 역에 있는 말을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원은 나라일로 출장을 나간 관리가 숙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한 숙박 시설을 말합니다. 원에서는 잠자리와 음식 등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