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오늘 뺴빼로 데이인데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마트에 파는 기성품인 빼빼로 제품도 많이 있지만 아이와 함께 만드는 것도 아이와 추억을 공유하고 서로 소통하는 과정이 될수 있어 참 교육적이다고 생각 합니다 수제 빼빼로 재료들이 잘 나와있어요 수제 빼빼로 세트를 하나 구매 하셔서 만드는 것이 따로 재료를 구매 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 일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두려움이 많다면, 자신감을 키워주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내성적인 아이들은 낯선 환경이나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나 무서움이 높다고 할수 있어요 다른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 보다 혼자 책을 읽거나 혼자 놀이를 하는 것이 편하고 좋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가 잘하고 자신 있는 하는 것을 시키게 하여 아이의 자신감을 높이는 것이 좋고 낯선 환경이나 낯선 사람에대해 많이 노출하게 하여 안전하다는 것을 교육 하는 것이 도움이 될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질문에 답을 못했을 때 아이가 심하게 화를 내는데, 어떻게 하면 더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이 아이에 대한 기대가 많은 경우 아이는 항상 잘 해야 한다는 마음에 부담을 가지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아이가 잘못했을 때 부모님이 실망 할까봐 미리 화를 내는 경우가 있어요 아이에게 이모든 과정이 배우는 단계이기 때문에 못할수도 있다고 괜찮다고 아이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놀이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에게 장난감을 나누어 주려 하지 않는데, 이를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경쟁자 없이 모든 장난감을 혼자 독차지 하고 있다가 친구들과 함께 나누어 가지고 놀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어요 너의 것을 친구들과 함께 가지고 놀아야 친구의 것도 가지고 놀수 있다고 설명하고 교육 하는 것이 좋습니다 친구와 함께 공유하고 놀이를 하는 것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2일 작성 됨
Q.
아이가 음식에 대해 유난히 까다로운 입맛을 가졌다면, 어떻게 하면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먹게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요즘에는 자극적인 음식들에 많이 길들여져 있어 자연식을 섭취하게 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아이들이 좋아 하는 간식에는 조미료와 당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입맛을 바꾸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인스턴트 음식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 합니다 아이들이 인스턴트 음식을 선호하고 좋아 하기 때문에 인스턴트 음식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 합니다 인스턴트 음식을 줄여야 미각도 돌아 오기 때문이죠
양육·훈육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갑자기 말을 더듬기 시작하는 아이에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마음이 여리거나 약한 아이의 경우 부모님이 지나치게 화를 내거나 소리를 지르는 경우 아이가 놀라 말을 더듬게 됩니다 항상 아이가 흥분하지 않게 평정심을 유지한 편안한 목소리로 아이에게 말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아이 잘 못한 일이 있어도 흥분하지 말고 아이가 천천히 상황을 이야기 할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해요
놀이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아이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실내 활동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단독 주택이 아닌 공동 주택일 경우 집에서 뛰어 다니면서 하는 활동은 다른 분들에게 피해를 줄수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음식 만들기나 보드게임 같은 놀이를 함께 하면서 만드는 것 보다 대화를 많이 하면서 아이들과 소통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배변훈련을 마친 아이가 다시 기저귀를 하고 싶어 한다면, 어떻게 대응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기저귀를 떼고 대소변도 알아서 잘 할수 있는 아이가 기저귀를 차고 싶다고 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습니다 잘 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금 실수 해서 부모님께 혼이 났거나 한 경우 아이가 불안한 마음에 다시 기저귀를 차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아이가 실수 하더라도 괜찮다고 실수 할수 있다고 편하게 이야기 해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놀이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초딩 아들과 게임하며 경쟁하는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이 아이와 같은 취미를 하고 놀아 주는 것은 매우 좋은 방법 입니다 아이와 유대감을 가질 수 있고 소통도 된다고 아이는 생각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게임을 오랫동안 하는 것도 좋지 못하고 정해진 시간에만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도 중요 하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11일 작성 됨
Q.
아이와 언제부터 따로 떨어져서 잘 수 있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마다 차이는 있어요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아이들은 2~3살에도 혼자 자는 것이 가능 하지만 평소 엄마가 아이의 많은 것을 해결 해 주는 경우 혼자 자는 것이 어렵다고 할수 있어요 초등 학교 들어가기 전 까지는 혼자 잘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의 독립심을 길려야 하기 때문이죠 처음 혼자 자게 되면 두려움이나 무서움을 느낄 수 있어 옆에서 아이가 잠이 들 때까지 있어야 합니다 새벽에 놀라 깨기라도 하면 달려가 괜찮다고 아이를 달래 주어야 합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