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 관계에서 자꾸 양보하지 않고 이기적으로 행동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요즘 아이들은 형제나 자매 남매가 많지 않고 둘이나 하나인 가정이 많아 아이들의 중심으로 행동 하는 경우가아주 많이 있습니다 당연히 아이들은 배려나 양보를 배우지 못 합니다 집에서는 모든 물품이나 장난감이 본인 것이다 보니 다른 아이와함께 사용 한다는 것이 어색하고 이상 할수 있죠 하지만 친구와 함께 놀이를 할 때에는 친구에게 양보도 하고 친구의 것도 함께 가지고 놀수 있다고 이야기 하고 이해 시켜 주셔야 합니다 처음에는 어렵지만 반복적으로 교육 하다 보면 아이도 조금씩 달라 집니다 한번의 훈육으로 아이가 달라 지는 것은 매우 어렵 습니다 반복적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훈육 하시길 바래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거짓말을 할 때 이를 어떻게 바로잡고 정직한 성품을 키워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이 아이에 대한 기대가 높거나 강압적인 가정의 분위기 때문에 아이들은 잘못하면 혼나는 것이 두려워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어떤 일에 대한 성과가 좋지 못하면 강하게 혼을 나거나 하면 아이는 성과에 대한 두려움으로 거짓말을 많이 합니다 평소 아이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어떤 것을 좋아 하고 잘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하지 못하고 부모님이 좋아 하는 일들을 하다 보니 아이들의 스트레스는 높아지고 하지 않은 일도 했다고 거짓말을 하게 됩니다 아이가 평소 편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아이도 못한 건 못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자식에 대한 욕심을 내려 놓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합니다 잘 먹고 잘 자고 건강하게 자라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을 잊지는 말아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물건을 자주 훔치거나 남의 것을 빌려가고 돌려주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일반적인 아이라면 남에 물건을 훔치는 행동은 올지 못한 행동 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남의 물건을 훔치면 안된다는 가정 교육이 되지 않아 벌어 지는 일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아이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거나 먹고 살기가 너무 어려워 아이에게 신경을 쓰지 못해서 일어 나는 일 입니다 아이 친구에 대한 교육은 친구 부모님이 하시는 것이 맞으면 친구를 불러 함부로 교육 하거나 훈육하시면 안됩니다 내아이의 교육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더욱 중요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자꾸 소리를 지르거나 뛰어다니는 등 예의없이 행동할 때 어떻게 주의를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평소에 아이가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 밖과 안을 구분 하지 못해 일어나는 행동 입니다 사람들이 많은 실내 에서는 다른 사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용하게 이야기 하고 뛰는 행동을 하면 안된다는 것이 교육 되지 않아서 일어나는 일 입니다 실제로 뛰어다니는 부모님과 이야기 해보면 아이가 뛰는 행동에 대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부모님이 많습니다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가 무척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행동들은 단체 생활을 해야 하는 아이들에게 다른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행동을 보일수 있고 문제아로 낙인 되어 단체 생활을 어렵게 만들수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사람이 많은 곳에서 뛰어 다니면 너가 다칠수도 있고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할수도 있으니 뛰어 다니면 안된다고 단호 하게 말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터나 운동장에서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 다닐수 있게 해주는 것이 아이들이 실내에서 뛰어 다니지 않게 하는 것이고 시간이 되지 않는 다면 아이들이 태권도 같은 학원을 다니게 해 아이들의 체력 소모를 많이 할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화를 참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이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있는 성질을 부리게 되면 아이의 성격도 부모를 따라 가게 됩니다 자신의 화를 참지 못해 친구들에게 폭력을 사용 하게 될수도 있고 많은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부모는 자식의 거울이라고 도 합니다 부모님 모습을 배우고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에 화가 나도 한번 더 참고 생각하고 말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으면 명상을 통해 차분한 마음을 유지 하도록 노력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너무 수동적이고 자기 의견을 잘 표현하지 못할 때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타고난 성격이 내성적이다면 사람들 앞에 나서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활동적인 행동 보다 책을 읽거나 조용히 자기만의 생각을 하는 것이 좋아 합니다 평소에 차분하며 꼼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부모님과 자주 대화 하며 표현 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것도 좋습니다 자심감을 키워주기 위해서 평소 칭찬이 많이 필요 하며 좀 못하더라도 핀잔을 주거나 실망한 모습보다 잘 할수 있다 용기를 주고 응원을 통해 아이가 할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하다 할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지시나 규칙을 잘 따르지 않고 반항할 때 이를 어떻게 훈육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의 훈계가 부당 하다고 생각 되면 아이들은 반항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항상 아이들의 말에 대한 공감이나 이해가 필요 하고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지 잘 알아야 합니다 평소에 아이와 많은 대화가 필요 하고 논리적인 아이들은 부모님의 말에 대해 설득이 필요 합니다 항상 아이들 앞에 큰소리나 흥분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이 좋으면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 해야 합니다아이들 앞에서 모범이 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아이들로 부터 존경을 받지 못한다면 훈계도 어렵습니다 아이들이 보기에 부모님 자신도 바르게 행동하지 못하는 데 아이들에게 훈계를 한다면 아이들이 부모라는 이유로 훈계를 받아 들이지는 않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청소년기에 필요한 심리적 지원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청소년 시절은 아이들이 규칙적인 생활을 잘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한데 낮에 활동을 잘하고 저녁에 정해진 시간에 잠에 드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저녁에 늦게 자는 습관이 있으면 수면이 모자라기 때문에 다음날 활동에 지장을 줄수 있기 때문이죠 수면 시간을 잘 지키고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잘 할수 있도록 하고공부하는 시간과 휴식 시간을 잘 이용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계속 혼자서 흠흠흠거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tv를 보면서 흥얼거리는 것은 아이가 좋아 하는 장면이 나오거나 즐거운 노래가 나오면 따라 한다고 흥에 겨워 하는 행동 일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왜 흠흠흠 거리며 따라 하는지 물어 보는 것도 좋습니다 특별하게 이상 하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평소에도 혼자 흠흠흠 거리거나 혼자 말을 많이 한다면 심리 상담을 한번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4일 작성 됨
Q.
줄글이 긴 책은 안보고 오직 만화책들만 읽으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만화 책이라도 책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책과 친해 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하기 때문이죠 책을 읽지 않으려는 아이도 있기에 그림책이라도 읽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아이에게 책을 읽어라 하지 말고 부보님도 항상 책을 읽는 모습을 보인다면 아이도 따라 책을 잘 읽을 수 있어요 부모님은 책을 읽지 않는데 아이에게만 책을 읽어라 하면 잘 읽지 않습니다
131
132
133
134
1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