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아이가 본인 잘못인데도 화를 내는데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강압이 많은 가정 환경이나 부모님의 기대가 큰 경우 아이들은 항상 잘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에 잘못을 인정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잘못을 인정 하는 건 본인이 못했다는 것을 인정 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 하기 때문이죠 아이의 마음에 부담을 줄여 주는 것이 좋고 잘못을 인정 한다고 어떻게 되는 것은 아니다 라고 말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마음의 짐을 벗을 수 있게 편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아이가 콧물을 자꾸 옷소매로 닦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우선 비염이 있다고 하면 병원에 가서 치료 하는 것이 우선 입니다 환절기에 비염이 많이 생기면 경우라면 마스크 착용을 하면 어느 정도 도움이 되고 옷소매로 닦는다면 손수건이나 휴지를 챙겨 주어 닦으라 하면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아이가 밖에 나가면 자꾸 안아달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걷기 힘들어서 안아 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안아 주는 것 만큼 대근육을 사용 하지 않아 아이가 잘 달리고 걷는 힘이 발달 되지 않습니다 큰 아이를 안아 주다 보면 엄마의 팔목이나 허리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아이가 걷게 하는 것이 좋고 아이가 걷는 것이 힘들다고 하면 잠시 쉬어 가는 것도 좋습니다
놀이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지역축제 등에 참여시 아이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과 축제에 다니고 시간을 함께 보내다 보면 아이들과 같은 추억을 만들 수 있고 유대감도 생기게 됩니다 같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는 건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주제도 많다고 생각 됩니다 각 지역을 다니면서 지역을 특색을 보고 배우게 되면 지역에 있는 박물관이나 기념관을 방문 하시면 역사를 공부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아이의 부정적인 행동이 있을 때 어떻게 교정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릴적 고치지 못한면 자라서 좋아 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보이지 않게 숨기고 있을 뿐이죠 초4학년이면 아직 기회가 있는 나이 입니다 고학년이 되고 중학생이 되면 덩치가 크고 힘도 강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선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되면 아이에게 왜 이런 행동을 해? 하고 관심을 가지고 아이의 심리 상태에 대해 이야기 해봐야 합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고 아이의 말에 대해 공감을 하고 이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소통이 되면 아이의 문제 행동을 교정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항상 흥분하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한 목소리로 말하게 된다면 아이는 부모님의 훈육을 잘 받아 드릴 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아이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일반적으로 부모의 통제 없이 아이들이 알아서 스마트폰을 사용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모님이 아이가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기 전에 사용 시간 규칙을 정해 아이가 잘 적응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매우 빠르게 올라가는 경우가 많아 중독 시점에 와서야 규칙을 정하는 경우가 많아 아이도 힘들고 부모님도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아요 아이가 스마트폰 사용을 인지를 하고 다룬다고 생각 되면 사용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와 갈등을 겪고 있는데 어떻게 중재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친구와 두툼이 있어 해결 되지 않았다면 아이의 말을 잘들어 보고 아이의 마음을 잘 풀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마음이 풀린 아이들은 친구에게 먼저 사과하고 쉽게 풀릴 수도 있으니 아이에게 친구와 화해 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건 옳지 못한 행동 입니다 친구와의 관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당사자는 아이입니다 아이 스스로 친구 관계를 풀지 못한다면 친구 관계는 오래 가지 못하고 다시 갈등을 겪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사춘기에 접어드는 아이와 소통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사춘기에 아이들과 소통하는 건 전문가 분들도 힘들어 하는 부분 입니다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에게 먼저 말을 거는 것 보다 아이가 말을 하면 들어 줄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사춘기에 아이들의 생각은 매우 복잡고 어렵기 때문에 훈육을 하거나 아이의 생활 방식에 대해 먼저 말을 한다면 아이는 마음에 문을 더욱 더 닫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주고 공감하며 이해 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걱정스러운 눈빛보다 너를 믿는 다는 눈빛으로 아이를 대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아이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기 위한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내성적인 아이들은 먼저 다른 친구에게 다가 가는 걸 어려워 하기 때문에 다른 친구들이 다가 오기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내성적인 아이들은 말이 없고 표정이 어둡기 때문에 다른 아이들도 쉽게 다가 서지 않게 됩니다 아이와 성격이 맞는 아이를 찾아 어울릴 수 있게 하고 친구 관계에 자신감이 붙게 되면 다른 친구에게도 관심을 보일수 있어요
놀이
2024년 10월 7일 작성 됨
Q.
학습에 대해 의욕이 없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공부에 관심이 없는 아이들은 공부 하기가 무엇보다 싫고 재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곳에 재능을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기에 부모님은 공부에 만 관심을 보이지 말고 우선 아이가 잘하는 과목을 지지하고 칭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부모로 부터 관심과 인정을 받는 다면 자신감이 생겨 다른 것 도 관심을 보일수 있고 잘 할수 있는 경우도있습니다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