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남자아이들은 그 순간만 생각하고 단순하다고 하는데요
아이들은 타고난 기질이나 성향이 다 다릅니다모든 아이가 공부를 좋아 하지는 않습니다운동이나 미술 음악에 더 관심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방과후 수업이 무엇 인지를 알 수는 없으나 아이가방과후 수업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게임을 좋아 하는 친구 인 것 같습니다여자 아이들 보다 남자 아이들이 게임에 관심이 더 많은 거 같습니다아이들은 자기가 잘 하고 좋아하는 걸 하면 자존감이 높아 집니다자존감이 높아지면 자신감도 높아집니다자신감이 높아 졌을 때 하고자 하는 의욕도 높아지고 생활도 잘 할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아이 훈육시에 금지(그만, 하지마, 안돼)와 관련된 말들은 하지 않는게 좋나요?
아이를 키우다 보면 그만 하지마 안돼 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보육하기란 매우 매우 어렵습니다보통 이런 단어는 아이가 위험 해지기 전에 많이 나오는 용어 입니다이런 단어 들은 통제의 목적이 강한 단어 입니다아이가 자라면 부메랑으로 엄마에게 돌아올 수도 있습니다본인이 얻고 싶은 것들을 통제를 통해 얻어 내려고 하죠~~해줘 라는 식에 표현을 쓰죠 명령어를 통해 엄마를 통제 하려고 할 수도 있습니다엄마가 도와 줄까 엄마와 함께 할까 이런 말들로 돌려 말해야 합니다참 어렵습니다. 인내를 가고 연습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말을 더듬는 모습을 보이는 아이는 왜 그런 모습을 보이는 것일까요?
말더듬은 2세부터 6세까지 나타나게 됩니다아이가 흥분 했을 때 말더듬이 나타나게 됩니다이시기에 혼이 나거나 너는 왜 말을 더듬어 라고 이야기를 듣게 되면아이는 많이 긴장하게 되고 말더듬 으로 이어지게 됩니다아이가 긴장하지 않고 편안한 마음이 될 수 있게 환경을 만들어 주고천천히 말하게 해야 합니다부모의 표정은 밝아야 합니다집에서 천천히 말하는 연습하고 언어치료를 한다면 빨리 좋아질 것 입니다5살이면 늦지 않은 나이 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아이들을 훈육할 때 가끔씩 거친 말도 필요하나요.
아이가 몇 살 인지가 없어 조금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영아나 유아 초등학생 저학년 고학년 중고등 학생 모두가 같은 방법으로 훈육 하지는않습니다거친 언어가 무섭기 때문에 수긍 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반감을 가져 오게됩니다부모님들은 혼부터 내고 화를 내기 때문에 무서워서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아이의 편을 들어 주면서 아이의 말을 듣다 보면 아이의 마음이 풀릴 때가 있습니다아이들은 본인이 잘 못한 걸 알고 있습니다마음이 풀리고 편안 해지면 아이도 이런 건 내가 잘못 했다 이야기 합니다보통 부모님들은 이 순간 까지 기다리질 못 해서 대화가 어려운 겁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청결함이 몸에 베이지 않는 아이 어떻게 해야 될까요?
바닥에 떨어진 음식은 오염 되었기 때문에 질병이나 배탈이 날 수 있습니다평소에 아이가 음식을 먹을 때 부족함 없이 먹여야 합니다아이마다 식탐이 다르게 태어 납니다충분히 먹었는데도 그렇다면 위생 교육이 필요 하겠습니다떨어진 음식을 먹으면 어떻게 된다는 걸 말로 하지 말고 미디어 교육이나 사진 교육 등 현실 있는 교육이 필요 하다 하겠습니다
701
702
703
704
7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