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2025위시리스트
2025위시리스트

아이들을 훈육할 때 가끔씩 거친 말도 필요하나요.

아이들을 훈육할 때 마냥 좋은 어조로만 할 수 없는데 가끔씩 거친 언어를 사용 할 때가 더 효과적인지 아니면 거친 언어는 사용하면 안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훈육을 하는 것이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올바르게 행동할수 있도록 가르치는 교육이기 때문에 거칠고 부정적인 언어보다는 긍정적인 표현방식으로 아이가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잘못했을때 훈육을 하다보면 감정이입이 되어 소리를 지르는 일이나 부정적인 언어, 거친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들이 있을수 있지만 결코 아이들의 훈육에 있어 도움이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훈육을 할때는 아이들의 마음을 먼저 공감하고 이해해주는 마음이 필요하며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제시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님은 아이들에게 거울이 마찬가지입니다. 부모님들이 평상시에 사용하는 말투나 어조, 목소리의 높낮이가 아이들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에 생각보다 엄청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부모님들께서 사용하시는 단어들 또한 아이들에게 금방 스펀지처럼 습득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부모님들께서는 훈육을 하실 때 절대로 거친 언어를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화가 나시더라도 냉정함 속에서 바른말,고운말을 사용하시는게 바람직합니다.

  • 아이들을 훈육시에는 거친말은 하지 않습니다.

    거친말보다는 명확하고 단호하게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일관성 있는 훈육이 제일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을 훈육할 때 거친 말은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말을 해주세요.

    그 행동과 언어는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그 행동과 언어가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를 아이 눈높이에 맞춰 잘 설명해 주시면 됩니다.

  • 아이들을 훈육할 때 거친 언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거친 언어는 아이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습니다. 대신 단호하면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거친 말을 한다는 것은 감정적으로 대한다는 것이고 훈육은 감정적으로 접근하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훈육은 필수이지만 거친말을 하는것은 좋지 않다고 합니다. 부드러운 말로 강렬하게 아이들을 훈육해주셔야 아이들이 나쁜길로 빠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아이가 몇 살 인지가 없어 조금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영아나 유아 초등학생 저학년 고학년 중고등 학생 모두가 같은 방법으로 훈육 하지는

    않습니다

    거친 언어가 무섭기 때문에 수긍 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반감을 가져 오게

    됩니다

    부모님들은 혼부터 내고 화를 내기 때문에 무서워서 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아이의 편을 들어 주면서 아이의 말을 듣다 보면 아이의 마음이 풀릴 때가 있습니다

    아이들은 본인이 잘 못한 걸 알고 있습니다

    마음이 풀리고 편안 해지면 아이도 이런 건 내가 잘못 했다 이야기 합니다

    보통 부모님들은 이 순간 까지 기다리질 못 해서 대화가 어려운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