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사를 통틀어 여왕은 몇명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여왕은 신라시대에만 존재했습니다.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한 선덕여왕부터 진덕여왕, 진성여왕까지입니다.1. 선덕여왕(善德女王, ?~647년, 재위: 632년~647년)2. 진덕여왕(眞德女王, ?~654년, 재위: 647년~654년)3. 진성여왕(眞聖女王, ?~897년, 재위 : 887년~897년)
Q. 직장인입니다. 인문소양을 위한 최소의 독서량은 얼마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철학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최소 필요 독서량은 없습니다.훌륭한 책은 지식과 지혜를 배우는 데 좋은 길잡이임에 틀림 없지만, 더 중요한 것은 같은 것을 읽고도 어떤 고찰을 하여 지혜를 쌓는지는 본인의 몫입니다. 지혜의 분야는 양이 아니라 질을 높여야 하는 부분이지요.이미 매월 1권 정도의 좋은 책을 정독하신 적 있으시다면 어느 정도 소양이 있으실 걸로 보이는데요, 독서량에 기준을 두지 마시고 자투리 시간 (운전, 대중교통 이용, 샤워 등)에 어떤 철학적 이슈나 사회 현상 등에 대해 자신만의 생각을 가져보는 연습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때로는 책보단 지혜로운 사람과의 발전적 대화 등이 인문학 소양을 쌓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Q. 뮤지컬과 오페라의 차이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뮤지컬은 노래, 춤, 연기를 중점으로 하는 공연을 말하며 노래가 중심이되는 종합 공연로, 오페라가 근원이 됩니다. 19세기에 시작된 분야로, 16세기부터 시작된 오페라에 비해 역사가 짧습니다.오페라와의 차이점이라면 배우가 관객을 끊임없이 의식하며 인터랙티브한 공연을 한다는 점을 들 수 있지요. 뮤지컬은 오페라에 비해 대중적이고 예능적이고 상업적인 분야입니다. 오페라는 노래와 언어가 중요해서 원어 그대로 공연되는 경우가 많지만, 연기가 더 중요한 뮤지컬은 번역이나 개사가 일반적입니다.유명한 뮤지컬은 캣츠, 레미제라블, 미스사이공, 오페라의 유령이 있습니다.
Q. 인문학적 지식을 쌓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문학이 유행처럼 번졌지만, 그게 무엇인지 정확히 알려주는 곳은 많지 않죠.인문학은 학문적 구분으론 철학, 문학, 어학 등을 아우르지만 궁극적으론 철학입니다.철학의 어원은 '지혜를 사랑한다.'라는 뜻에서 왔으며, 삶의 지혜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우리에게 익숙한 많은 학문이 'How to'를 강조한다고 보면 인문학은 'Why'가 중요합니다.어떠한 이슈가 생겼을 때 '어떻게'를 고민하기 전에 '왜'를 먼저 고민하는 것이 인문학적 사고의 시작이 됩니다.이미 과거 철학자들이 이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해왔고 이 부분을 진지하게 따라가면 인문학을 지혜롭게 탐구하는 방법을 조금씩 알게 되실 것입니다.인문학, 철학 교양 입문 서적을 통해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