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체동물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 생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연체동물은 ‘맨틀’이라 불리는 조직을 가지고 있는데, 이 맨틀은 몸을 둘러싸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껍질을 생성하는 기능을 합니다. 예를 들어, 달팽이와 조개는 이 맨틀을 통해 단단한 석회질 껍데기를 형성합니다. 또, 연체동물은 그들의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호흡 방식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물에 사는 연체동물은 아가미를 통해 호흡하며, 육상에 사는 일부 연체동물(예: 육상 달팽이)은 공기를 호흡하는 폐를 발달시켰습니다.
Q. 갈대와 억새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갈대는 보통 물가나 습지에서 자라며 물 속이나 물가의 진흙 속에서 잘 자랍니다. 이들은 특히 물을 정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줄기는 두껍고 직선적이며, 갈색이나 회색을 띠고, 표면이 매끄러운 편입니다. 꽃은 긴 꽃차례를 이루며, 보통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피어납니다.억새는 건조하고 개방된 공간, 언덕이나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랍니다. 한국에서는 가을에 금빛으로 물드는 억새밭이 유명합니다. 줄기가 상대적으로 가늘고 휘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털이 있거나 거칠 수 있습니다. 꽃은 부드러운 털이 달린 화서를 형성하고, 이는 가을에 아름다운 금빛으로 변합니다.
Q. 개미가 죽은 개미를 물고 가는 듯한데, 흔히 있는 일인가요?
개미들은 특히 자신들의 집단 내에서 사망한 개체를 안전한 장소로 옮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고, 둥지의 위생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죽은 개미는 화학물질을 방출하며, 살아있는 개미들은 이를 감지하고 사체를 둥지 밖의 묘지로 옮깁니다.개미가 죽은 개미를 먹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사체를 제거하는 행동의 일환입니다. 개미는 주로 곤충이나 다른 작은 동물들을 사냥하여 먹이로 활용하지만, 자신의 종류를 먹이로 사용하는 일은 드뭅니다.
Q. 갯벌에 물이 들어오면 조개들은 밖으로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대부분의 조개들은 갯벌 안에서 계속 살아갑니다. 조개들은 갯벌 속에 자신을 묻고 살며, 물이 들어오면 물을 필터링하여 먹이를 섭취하는 방식으로 생활합니다. 조개들은 발을 이용해 갯벌 속에 자신을 파묻고, 긴 관(사이펀)을 통해 물을 흡입하여 플랑크톤 등의 먹이를 걸러냅니다.조개들은 물이 들어오면 더 활발하게 먹이를 섭취하기 위해 활동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갯벌 밖으로 나오지는 않습니다. 대신 물이 빠져나가면 다시 갯벌 속으로 깊이 파묻혀 보호를 받으며 생활합니다.
Q. 알 대신 새끼, 즉 올챙이를 낳는 개구리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네, 알 대신 올챙이를 낳는 개구리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나무개구리" 또는 "아프리카 나무개구리"로 알려진 종들이 있습니다. 특히, 나무개구리 중 일부는 직접 태생이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이 방식은 암컷이 알을 몸 안에서 부화시킨 후, 올챙이나 작은 개구리를 직접 낳는 것을 말합니다.이러한 번식 방식은 주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진화한 것으로, 물이 부족한 곳이나 알이 포식자에게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서 알을 보호하기 위해 진화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