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양이가 허피스 치료할 수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허피스바이러스는 숙주의 면역력이 강할때는 비활성화 상태로 숙주 체내의 신경절 등 조직에서 잠복하고 있습니다. 비활성화 상태의 허피스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유도하지 않기 때문에 잠복기간 동안에는 증상을 보이지 않으나, 숙주가 어떤 이유로든 생체 항상성을 잃기 시작하면 허피스 바이러스 역시 활성화되어 피부나 호흡기점막 등으로 침투하여 바이러스 개체수를 숙주 세포를 통해 증폭하기 시작합니다. 이 때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감염된 숙주세포는 약물치료와 숙주 본연의 면역력으로 인해 제거가 되지만, 증폭 후 비활성화 상태로 잠복을 시작한 바이러스는 다시 신경절로 들어가기 때문에 해당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숙주 체내에서 완전한 절멸은 어렵습니다.사람의 헤르페스 성병, 구내염 등의 증상도 허피스 바이러스에 의해 매개되며, 허피스와 생태사가 다르지만 파필로마 바이러스에 의한 사마귀 등도 이와 유사한 기전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