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성지방 수치가 700이 넘는데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운동으로 체중조절하시고 밀가루음식 인스턴트 기름진 음식 육신 청량음료 피하고 강렬한 색깔의 야채 과일을 많이 드세요-----------------------------------------------항산화제 특히 Vit.C 많아, 스타틴 약물만큼 효과주황색 ; 오렌지 Vit.C공급(동맥균열 예방)빨간색 ; 석류 K Vit.B6공급(Chol 혈압↓) 약 복용 시 적당히 줄여야 과잉 될 수도노란색 ; 옥수수 섬유소 엽산 공급(염증 Chol↓)초록색 ; 브로콜리 I3C공급(암위험↓)파란색 ; 블루베리 resveratrol( 노화 심장손상↓ 여성암보호)자주색 ; 가지 Vit.B류 K 구리(Chol 혈압↓)흰색 ; 코코넛 라우린산(심장감염 염증 미생물 박멸)녹색 ; 녹차 EGCG를 포함한 카테킨 함유 항산화효과, LDL↓혈관 속의 찐득한 덩어리가 동맥벽에 달라붙는 것/ 응혈형성 예방(적포도주도 같은 작용)다크 초코렛 ; 70%이상 하루 2쪽, procyanidin↑(심장 튼튼) 혈전야기 leukotriene↓
Q. 코푸시럽이랑 시네츄라시럽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생약성분과 화학적 성분 차이고 효능은 비슷해요-------------------------------------------------------코푸 성분 별 약효Ammonium Chloride : 호흡기계질환 > 거담제 > 기타Chlorpheniramine Maleate : 알러지 질환 (비염, 가려움증 등 포함) > 항히스타민제 > 제1세대 > AlkylaminesDihydrocodeine Tartrate : 호흡기계질환 > 진해제 > 중추성 마약성DL-Methylephedrine Hydrochloride : 호흡기계질환 > 기관지 천식(COPD 포함) 치료제 > 교감신경성 기관지 확장제 >효능[허가사항변경(2014년 재평가), 의약품안전평가과-943, 2016.02.23.](시럽제)기침, 가래--------------------------------------------------------------성분Coptis Rhizome Butanol Dried Ext. 황련수포화부탄올건조엑스 0.875mg/mLIvy Leaf 30% Ethanol Dried Ext. 아이비엽30%에탄올건조엑스 2.625mg/mL성분 별 약효Coptis Rhizome Butanol Dried Ext. : 호흡기계질환 > 호흡기 감염 치료제 > 생약제제Ivy Leaf 30% Ethanol Dried Ext. : 호흡기계질환 > 거담제 > 기타효능1. 다음 질병으로 인한 기침, 가래 : 급성 상기도 감염, 만성 염증성 기관지염2. 급성 기관지염
Q. 올로파놀 점안액을 하루 점안 횟수와 간격을 못 지켰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올로파놀을 세 번 점안했다면... 눈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걸까요...?- 1회성일 경우는 큰 문제 없으나 반복적으로 과량사용은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1) 안구와 관련된 증상으로 눈의 과도한 민감성 증가 등이 때때로 나타날 수 있다.(2) 안구 외 증상으로 무력감, 감기, 과민증, 구역, 인두염, 부비동염, , 홍반, 복통, 간기능장애, 황달, 혈압상승, 백혈구, 림프구의 감소, 혈중 크레아티닌·BUN의 상승, 배뇨 곤란이 때때로 보고되었다.4) 국내 시판후 조사결과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8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증례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1.46%(12례/822례, 총 13건)로 나타났으며, 보고된 이상반응은 안자극, 안충혈, 각막염, 안구건조, 안통이었다.5) 첨가제 : 이 약은 인산염을 포함하고 있다.상당한 각막 손상이 있는 일부 환자에서 인산염 함유 점안액의 사용과 연관되어 각막 석회화의 사례가 매우 드물게(0.01% 미만) 보고된 바 있다.8. 과량투여이 약 한 병의 내용물을 복용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과량 투여 시 환자에 대한 적절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