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100Kg에 달하는 대형 멧돼지가 부산시내 지하철역에 나타나고, 식당 주방에 침입하고, 사람 팔목을 물어 큰부상을 입혔습니다 멧돼지가 도시로 내려오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멧돼지들이 산에서 먹이가 부족해지면 도심으로 내려오기도합니다. 특히 가을이나 겨울철이되면 이러한먹이는 극도로 없어지기때문에 더 자주 내려오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메디폼은 어떠한 원리로 상처가 남지 않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흉터가생기는이유는 재생되고있는 와중에 수분이제거되거나 일부재생된 세포가 다시 자극을받으며 소실되며 만들어집니다.메디폼은 상처부위를 촉촉하게 만들어주면서도 외부 병원균을 막아주는 인공피부 역할도하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식물이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흡수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이 흡수한 이산화탄소는 물과함께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해 분해되었다가 다시 포도당으로 합성됩니다.즉, 광합성은 태양에너지를 포도당이라는 화학적결합안에 가둬두는 행위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이 반응의 재료로 사용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흰머리가 나는 사람들은 나지않는 사람들과 무엇이 다른가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흰머리는 유전의 영향도있기때문에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어린나이에 흰머리가 빨리나오셨다면 이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체내 멜라닌색소를 합성하는 유전자가 빠르게 기능을하지못하게되며 발생할 수 있고, 이 외에는 환경적인 요인이나 스트레스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1일 작성 됨
Q.
손톱과 발톱은 어떻게 생겨나며 어떤 기능을 담당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손톱과발톱은 뿌리쪽에있는 각질세포들이 죽은뒤 남은 케라틴질이 켜켜히 쌓이며 자라나옵니다.이 손톱발톱은 손끝과 발끝에 위치하여 가장예민한 곳을 보호해주고 손사용시 더욱 세밀한 작업을 할수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밝혀지지않는 생명체들도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공식적으로 알려진 생물종들은 약 200만종밖에 되지않습니다. 이는 사실 예상치의 약 5분의1또는 4분의1수준이기때문에 사실상 알려지지않은 생물이 훨씬 많습니다.특히 바다속에있는 생물들은 앞으로도 더욱 발견하기 어려울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멘델은 왜 완두를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완두는 유전자차이에따른 특징이 잘 드러나기때문입니다.열성유전특성과 우성유전특성이 육안으로 확연히 구분되어 유전연구를 하기 좋았을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열대긴수염개미가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이 되었다는데 어떤 이유로 교란종 지정이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열대긴수염개미는 사실 남미 열대지역에서 사는 생물이지만 다른곳에서도 적응력이 매우강한특성이 있습니다.특히 포식습성이 매우 포악하기때문에 곤충이나 무척추동물들, 심지어 새의 알이나 크기가작은 동물들까지도 공격하기까지합니다. 토착생물들은 이러한 개미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당하기때문에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여러가지의 식물은 어떻게 성장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엽록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작용이 필요합니다. 빛에너지를 활용해서 이산화탄소와 물을이용해 포도당을 만들어냅니다.이 포도당은 식물내부 곳곳으로 이동해서 해당부분의 생장에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합니다.에너지원 외에 필요한 질소나 인과같은 무기질은 물에녹아서 물관을통해 빨아들여올라가게됩니다.이 무기질들을 활용해서 단백질과같은 기타영양소들을 만들어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왜 우리는 꿈을 꾸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장 잘알려진 가설로는 우리가꿈을꿀때하루동안있었던 일들의 기억들을재분류하고 가공하는과정을 거치는시간이라고합니다.꿈은 수면상태중에서시각정보가 뇌에 보여지는상태이고,시각정보와연동된 기억들을정리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이는 실제로 꿈을꾸는중에시각영역과 기억영역이함께 활성화된다는점에서이와같은 추론을 하게된 가설입니다.감사합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