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스라이팅이 발생하는 뇌의 기저 작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스라이팅은 주로 뇌의 감정적인 영역과기억을 담당하는 영역모두를 자극시키며 일어납니다.스스로의 감정과 현실감각에대해 의심을품는것이 특징입니다.먼저 편도체의 공포반응인데편도체는 감정을 처리하고 공포나 불안같은감정을 처리하는 중요한역할을합니다.가스라이팅을 받으면 이 편도체가활성화되며 불안이나 공포반응을 강화시키고자신에대한 불신이 커집니다.그래서 가스라이팅을하는 사람의 말에 더기대는 경향이 있습니다.두번쨰는 전두엽에의한 판단력저하인데,전두엽은 강압적이거나 혼란에 자주 노출되면판단력이 흐려지기 시작합니다.논리적 사고나 비판적사고가 어려워집니다.세번쨰는 해마와 기억왜곡인데,특정 사건이나 상황을 지속적으로다르게 설명하면 원래의 기억을 희미하게 만들고왜곡된 기억을 대신 저장하여그게 실제처럼 믿게됩니다.마지막으로 도파민시스템이있는데,가스라이팅 상황에서가끔 긍정적인 피드백이나 보상을주면뇌에서는 엄청난양의 도파만이뿜어져나오면서 이 도파민에의존하는 경향이 생기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Q. 손발톱 또는 머리카락이 빨리자라는 사람과 그렇지못한 사람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손발톱이나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는 유전자의 영향이 큽니다.가족중에 이런사람들이 있으면 본인도그러할 확률이 높습니다.두번째로 호르몬이나 식습관, 영양상태등이 영향을주는데,갑상선기능이 왕성한사람은 대사속도가 높아머리카락이나 손발톱이 빨리자라는 경향이있고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하다면 속도가 더뎌질 수 있습니다.생활습관이나 스트레스등도 영향을 미치는데,숙면과 스트레스가 적은상태라면 더 빨리 자라는 경향이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나이와 신진대사속도에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식물은 눈은 없지만 주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은 눈이 없어도 주변환경을 민감하게 감지 가능합니다.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첫번째는 포토리셉터입니다.식물에는 피토크롬, 크립토크롬, 포토트로핀과같은 빛을감지하는 센서들이 달려있는데, 빛의 세기나 방향, 색상등을인지하고 잎이나 줄기를 빛쪽으로 기울이는 반응을 보입니다.두번째는 물리적자극을 감지하는 메카노리셉터인데미모사처럼 잎에 손을대면 오므라드는 반응을 보입니다.이런 방식으로 더 나은 환경을 찾아 자라거나주변 해충이나 외부 방해물을 피하려는 행동을 보이기까지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