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사람은 나이를 먹으면 키가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나이가들면 키가작아지는 이유는 주로 척추와 관련있습니다.먼저 척추디스크의변화인데, 나이가들면 디스크에있는 수분이 빠져나가 쪼그라들고 납작해지면서 척추길이가 줄의듭니다.두번째는 골밀도감소인데, 뼈가 미세하게 눌리며 압축되며 길이가 짧아집니다. 세번째는 자세가 구부정해진것이 굳어지며 키가 작아지게됩니다.네번째는 자세가 구부정한것을 펴는 근육이나 인대가 약해지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식충식물은 어떤 영양분을 얻기 위해 벌레를 잡아먹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충식물들은 주로 질소나 인, 칼륨과같은 물질을 훕수합니다. 주로 줄기나 잎이 크고 넓게 뻗어나갈 수 있게하는 핵심영양소를 곤충들에게서 공급받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돼지 심장이 인간의 심장과 크기와 생리적 기능이 비슷하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돼지심장은 인간의 심장과 크기가 비슷한것뿐아니라 혈관의 위치나 작동방식, 기능등이 거의 흡사하다고합니다.그래서 심장주변의 혈액이 실제 인간과 비슷하게 흘러나가기때문에 이를 연구하기 적합한 동물이라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정착한 외래종들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강이나 호수에 배스와 블루길 등이 정착해버렸습니다. 이들은 작은물고기들을 모조리먹어치우고 우리나라 토종들의 개체수를 크게 감소시켰습니다.또한 뉴트리아들고 강 하구에서 크게번성했지만 이들은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많이 줄였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신장의 네프론은 어떤역할을 하는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네프론은 신장에서 혈액으로부터 노폐물과 각종물질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시스템입니다.주로 노폐물을 혈액에서 걸러 배출하고 우리몸에 필요한 나트륨이나 칼륨과같은 물질을 재흡수하는 작용이 일어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굳은 살은 피부의 조직이 어떻게 변형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굳은살은 피부조직이 자주 압박을받거나 마찰을받으면 해당부위의 물리적인 피해를 막기위해 단단하고두껍게 쌓이는것입니다.단순히 각질층이 두껍게 만들어지며 단단해지는것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청계닭이 푸른 색 알을 낳는 이유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청계닭의 껍질에는 빌리버딘이라는 색소가 축적되는데,이 색소가 빛을받으면 푸른색으로 보이게합니다.빌리버딘은 닭의 간에서 만들어지고 껍질에 침착되어 쌓입니다.닭은 알응 형성하는 메커니즘이 닭의 품종마다 약간씩 다른데,붉은 깃털과 귓볼을 가진 닭은 갈색알을 낳고,흰색깃털과 흰귓볼을가진 닭은 주로 흰색을 낳습니다.이 색깔은 닭품종이 가진 유전자정보에 결정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개미는 어떻게 자기 몸무게 보다 더 무거운것을 쉽게 옮길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선 개미는 몸집이 작아 중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않고,자신이 가진 힘을 사용하는데 제약이 크게 없습니다.또한 몸이 작을수록 근육밀도가 높아질수있기때문에자신의 체중보다 무거운 물체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그리고 신체구조는 다리가 여섯개라서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고개미의 발톱과 발바닥조직은 표면을 더욱강하게 잘 잡아주기때문에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것이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겨울 철새들이오면 고병원성 조류인플레인자가 많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철새들은 먼곳을 자주왔다갔다하면서 각종 바이러스를 접촉할 가능성이높습니다. 또한 여기저기 숙주를 옮겨주기때문에 변종바이러스가되어 대응하기 어렵게할 가능성도 높죠이들 중 고병원성 바이러스를 지닌 개체가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닭을 통해 정말 공룡을 다시 재창조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완벽하게 재현하기는 어려울수도 있습니다.정확히 과거 공룡의유전자정보가 어땠는지 알 수 없을뿐더러 어떤인자를 정확히 맞춰주어야하는지도 불분명하기때문입니다.다만 특정유전자 하나씩이나 두개씩을 on/off하는정도는 해볼만한 실험이라고합니다. 해당유전자가 실제로 작동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입니다.이러한정보를 하나둘 모으다보면 언젠가는 공룡에 가까운 생물을 재창조할수도 있을지도 모릅니다.감사합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