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멧비둘기들을 산에서만 보이는게 아니라 도심에서도 잘 볼수있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멧비둘기도 일반비둘기들처럼 먹이를 찾아내려왔다가 적응해버렸을 수 있습니다.또한 요즘 산간지역에대한 개발이 활발하기때문에 산에있는동물들의 서식지가 점점 좁아지고있고 이를 피해서 날아왔을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매밀꽃은 흰색으로 알고 있는데 붉은 색도 있나요? 있다면 어느곳에 군락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붉은색메밀꽃은 주로 티벳고원이나 히말라야높은고도, 중국 남서부쪽에서 잘 자라는데 기온이 낮고 적절히 습한환경에서 잘 자랍니다.색이붉다보니 인기가좋아 관상용으로 많이 키우고 우리나라에서도 기온이낮고 습한 강원도 영월같은 고원지대쪽에 많이 자란다고합니다 또한 충북진천도 유명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연체 동물은 신체가 절단되도 어떤 이유로 다시 재생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연체동물은 몸이절단되면 성체줄기세포가 절단부위로 대거 이동하게됩니다. 이동한뒤 소실된 신체부위의 조직세포로변해 빈자리를 메꿉니다.이러한작용은 연체동물에게 활발하게 일어나는 특성이있어 많은연구자들이 계속해서 비밀을 파헤치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대장의 미생물이 건강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대장에 살고있는 미생물들은 인체에 큰 역할을합니다.우선 인간이 분해하지못하는 음식물들을 분해함으로써 소화를 돕습니다. 그리고 쉽게얻을수없는 영양소들을 분해산물로 내놓기도합니다.그리고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을하여 신체면역기능을 담당하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우리 몸에는 미생물이 엄청 많다고 하는데, 총 몇 마리 정도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리몸에는 약 1000~1300종정도의 미생물들이 사는것으로 알려져있고 장내에만 500~1000종 정도가 살고있다고합니다.나머지는 피부위나 구강, 생식기등에 위치하고있다고합니다.마리수로따지면 체내에는 약 30조 마리정도가 존재한다고합니다.감사합니딘.
생물·생명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코끼리는 어떻게 태초부터 초식 동물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코끼리의 몸집은 원래는 작았고 땅에붙은 식물들이나 과일을 먹었다고합니다.하지만 다른 초식동물과 먹이경쟁이붙으며 몸집을 키웠고 코가길어져 지금의 모습이된것이라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껍질없는 달걀이 어떻게 만들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껍질을 까는것이 귀찮은 사람들을 위한 제품인데, 계란을 가공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깨끗한 용기에담아 밀봉하여 파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선인장은 그리 메마른 사막에서도 살아 남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선인장은 물을 오랜시간 머금을수있는 특징이 있고 1년에 비거 50mm이하로오는 사막에서 드물게 오는 빗물을 머금고 오랜시간동안 그 물을 사용하게됩니다.또한 수분손실을 막기위한 바늘형 잎, 코팅된듯한 몸통, 동그란형태 등이 오랫동안 물을 갖고있도록 돕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펭귄 같은 경우는 아주 추운지방에서도 새끼를 낳는데 그렇게 추워도 새끼가 살수 있는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펭귄은 두꺼운 지방층의 신체구조를 갖고있어 체온유지가 잘되고, 새끼들은 이러한 성체펭귄들에 둘러쌓여 체온이 유지되도록 보호받습니다.특히 성체의 품속으로들어가 추위를 피하며 자라게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0월 27일 작성 됨
Q.
무송생식과 유성 생식이 어떻게 분류가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무성생식은 주로 둘로나뉘는 이분법이나 모체에서 새끼가 자라나와 떨어져나오는 출아법, 포자번식등이 이에속합니다.유성생식은 남성의세포가 여성의 세포와 만나결합하고 각자의 유전정보가 반반 섞이는것을 말합니다.유성생식은 유전자가 반반 섞인디는점에서 생물학적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즉, 쉽게말하면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은 두 개체가 자손을 만들었느냐, 한 개체가 자손을 만들었느냐로 구분하면됩니다.감사합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