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양 생물이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해양생물이 대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광합성으로인해 탄소순환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현재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에의한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고있는 상태인데,식물성 플랑크톤은 대기중의 탄소를 붙잡아 고체화시키기때문에대기의 이산화탄소농도를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또한 이플랑크톤을 잡아먹고 나오는 배설물들이 바다아래로 가라앉으면서결론적으로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가 해저바닥에 쌓이는 효과를 만들어냅니다.즉, 이러한 바다의 작용에의해 만들어지는 석유와 석탄이라는 탄소덩어리 고체,액체를다시 대기로 끌고올라와 기체화시킨느것이 인간이라는 뜻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 led등을 설치하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은 성장단계에따라서 다른 빛의강도와 높이를 조절해주어야합니다.어린시절에는 약 30~40cm의 높이가 적당하거 너무 가까우면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성장기에는 더 많은 빛을 필요로하기때문에 20~30cm 높이로 설치한느것이 좋다고합니다.밝기는 루멘이나 PPFD라고하는 광합성 유효광자속 밀도의 단위를 하용합니다.실내식물들은 200~400정도의 PPFD가 적당하고, 고광도식물의경우 600~900정도가 필요합니다.또한 등을 설치할떄 균일하게 빛을 제공받을수있도록 균형을 맞추어 잘 설치해야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품종을 계량을 한다는 것이 어떻게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품종개량은 보통식물의 유전적인 특성을 개선하거나 새로운특성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는 과정을 말합니다.수확량과 병충해 저행성, 기후적응성, 맛, 품질등의 개선을 위해 이루어진다고합니다.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개량이되는데선발육종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원하는 특성을가진 개체들은 선택하고 계속 교배를시켜 그 특성이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방법입니다.교배육종은 다른품종을 인위적으로 교배시키는 방법으로,완전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데 활용되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색맹과 색각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리눈에는 빨강, 초록, 파랑을 감지할수있는 세종류의 원추세포가 존재하는데,이 원추세포 중 하나만 결핍되거나 결함이 있으면 색깔을 전혀보지못합니다.이를 색맹이라고합니다.색약은 원추세포가 일부만 기능을 잃어 감도가 약해지고 색을 제대로 구별하기 어려운상태입니다. 색약은 색을 완전히 못보는것은 아니고색깔이 희미하게 보이거나 혼동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의 성격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성격이 다른 이유는 유전적요인, 환경적요인 두가지의 상호작용에의해 일어납니다.우선 유전적으로도 영향을 받는데, 실제로 부모의 성격을 닮아가는 경우가많고쌍둥이실험에서도 전혀다른 환경에서 산 일란성쌍둥이의 성격이 비슷한 경우가 있습니다.두번째로 환경적요인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성장배경이나, 가족관계,사회적인경험, 교육 등등이 영향을 미칩니다.또한 이러한 경험적인 것들을 개인적인 성격에의해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냐의 차이가 납니다.이런 수용능력에따라서도 성격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집게벌레 집게가 대칭이 아닌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집게벌레 중 수컷은 한쪽집게가 더 크고 다른쪽은 작게 발달한 형태인데,이런 비대칭적인 집게는 동료나 포식자와의 싸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큰 집게는 상대를 제압하거나 방어하는데 효과적이지만작은집게는 먹이를잡거나 세밀하게 조작하는데 적합합니다.이러한 형태는 집게발레가 살아가면서 서식지에서 필요한환경에의해 진화되어온 결과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에 관한 3가지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원생생물중에서 광합성을하면서도 단세포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원생생물인 유글레나라는 생물은 엽록소를 갖고있어 광합성이 가능하지만,동시에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특징도있습니다. 그래서 일부는 식물, 일부는 동물의특성을동시에 갖고있습니다.진균류는 진핵세포를 갖고있고, 원핵세포가 아니며, 핵막으로 둘러싸인 핵을 갖고있습니다.고세균은 위족운동으로 이동하지는 않고 편모나 섬모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균에 관해서 질문할게 두개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세균은 대장균과 유산균모두를 포함하는 단세포생물을 말합니다.남세균은 스스로 양분을 합성가능한 생물로써, 광합성을 통해빛에너지로 포도당을 만들어내어 에너지를 얻습니다.이 남세균은 지구 초기 대기에 산소를 공급했었던 중요한 생물 중 하나였습니다.즉, 누구보다도 먼저 스스로 양분을 합성하며 지구생태계를 만들어왔던생물종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반달가슴곰은 동면중에 새끼를 낳는다는데 정확히 어떤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반달가슴곰은 실제로 겨울철 동면도중에 새끼를 낳는 습성을 가지고있는데,암컷이 가을동안 충분한 먹이를 섭취해 체내 지방을 많이 축적한 상태로동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몸의영양소가 풍부한상태입니다.이 과정에서 동면덕분에 대사율이 낮아지게되어 새끼를 출산하고 돌볼 수 있는최소한의 에너지를 아낄수있습니다.또한 동면을드는 시기에는 다른동물들의 활동성도 낮기때문에새끼를 지킬 수 있는 확률이 높고 봄이될때까지 안전하게 기를수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의 크악새는 이제 멸종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인가요? 공식적 멸종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자연보전연맹이라는 국제기구에의해 결정되는데 합리적으로 인정할만한 시간동안 발견보고가 되지않으면 멸종처리됩니다.보통 50년을기준으로 더이상 개체가 발견되지않으면 멸종으로 간주합니다.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