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승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제 전문가입니다.

이승제 전문가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한의원에서 한약 실비보험 처리 되나요?
ㅤ안녕하십니까?ㅤ안타깝게도 아직은 질병에 대한 한약 처방에 실비 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매우 오래 전(09년도 8월 이전)에 가입한 실비보험일 경우 일반상해의료비 특약사항에 따라 한약 처방도 실비 적용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것은 상해일 경우에만 보장이 됩니다.2020년 11월 말부터 안면신경마비, 만 65세 이상의 뇌혈관질환 후유증, 월경통의 3개 질환에 대해 급여를 적용하는 첩약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 역시 질문자님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ㅤ다만 진료내용 중 침 치료에 대해서는 실비 보장이 가능하니 보험사에 청구해 보시기 바랍니다.이승제 한의사 드림ㅤ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한의약 침을 맞는것이 아픈 부위에 자극을 주어서 치료해주는건가오??
ㅤ안녕하십니까?ㅤ근골격계 통증질환의 침 치료는 환부 근처에 시행할 수도 있고, 환부로부터 먼 곳에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환부의 가까이에 자침하는 것을 근위취혈(近位取穴), 먼 곳에 자침하는 것을 원위취혈(遠位取穴)이라고 합니다. 근위취혈의 경우 다시 환부 근처의 경혈(經穴)을 자극하는 치료와 통증의 원인이 되는 가까운 근육에 형성된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 TP) 내지 신경의 포착(捕捉; Nerve Entrapment)이 발생한 지점을 자극하는 치료로 대분하여 볼 수 있고, 원위취혈은 환부 근처를 주행하는 경락(經絡)의 요혈(要穴)을 자극하는 치료, 환부의 근육이 연계된 경근(經筋)을 자극하는 치료, 통증을 일으킨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구조적 이상점을 찾아서 자극하는 치료 등이 속합니다.ㅤ또한 자침한 뒤 침에 전극을 걸어 약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전침(電鍼) 치료라고 하는데, 이는 신경의 전기적 신호에 영향을 주어 통증 감작에 개입하는 기전으로 지통을 하게 되며 따라서 전기 자극의 크기는 치료 효과에 관련이 없습니다. (자극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도 통증의 치료에는 충분합니다.) 정리하면 반드시 통증이 있는 부위에 침 치료를 하는 것은 아니며, 미약한 전기 자극을 통해 침의 진통 효과를 증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ㅤ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이승제 한의사 드림ㅤ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체했을때 손따는것도 침치료의 한가지인가요?
ㅤ안녕하십니까?ㅤ손가락 부위에도 경혈(經穴)과 경외기혈(經外奇穴)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손가락을 세웠을 때 중앙의 가장 높은 곳을 열 손가락 모두 가볍게 사혈하는 것을 십선혈(十宣穴)이라고 총칭하며, 이는 특정 경락에 속하지 않는 경외기혈의 하나입니다. (손가락 부위에 있는 다른 경혈들도 여럿 존재하며, 각각 자극 시의 효능이 다릅니다.)십선혈 사혈은 반드시 클로르헥시딘, 알코올, 포비돈요오드 중 하나로 손가락과 바늘을 모두 깨끗이 소독한 후에 시행되어야 합니다. 또 이때 나오는 피가 검붉다고 하여 소위 '죽은 피' 혹은 '나쁜 피'로 생각하시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고 단순히 말단부위를 순환하던 정맥혈이어서 색이 어두운 것입니다. 십선혈 사혈이 효과가 있는 것은 나쁜 피가 빠져나와서가 아니라 사혈로 인해 혈압, 맥박수, 체온이 일시적으로 빠르게 하강하기 때문인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효과의 크기나 지속시간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할 정도는 아닙니다.ㅤ따라서 십선혈 사혈은 어디까지나 가정에서 시행할 수 있는 응급요법으로 알아두시고, 효과의 지속시간 안에 의료기관으로 내원하여 적절한 진료를 받으실 수 있게 시간을 버는 목적으로 이해하심이 바람직할 것입니다.이승제 한의사 드림ㅤ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뜸이 좋나요 아니면 침이 좋나요??
ㅤ안녕하십니까?ㅤ한의학적으로 침과 뜸의 작용원리는 동일합니다. 그래서 침구(鍼灸)라는 용어로 묶어서 부르지요. 침구치료는 조기치신(調氣治神)의 원리로 인체의 경락과 장부의 기(氣)가 불균형해진 상태에 개입하여 상대적인 평형 상태로 되돌리며, 기혈의 운행을 강화시키고, 신체 각부의 기능실조를 회복시키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ㅤ구체적인 차이를 비교해보면, 침의 경우 경기(經氣; 경락의 정상적인 기운)를 소모시키는 성질이 있는 반면 뜸은 경기를 온보(溫補; 따뜻하게 보강함)해 주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큰 병을 앓아 허약해진 환자나 생명력이 약해진 노인에게는 침 시술을 신중하게 합니다.또한 침은 대개 인체에 병을 일으키는 사기(邪氣)를 배출시키고 뜸은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인 정기(正氣)를 보강하여 준다고도 봅니다만, 이것은 전반적인 대강에 해당하며 실제로는 침법과 구법 모두에 보사의 개념이 있습니다.그러므로 급성질환 및 한의학적으로 실증(實證)·열증(熱證)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침 시술이 주로 시행되고, 만성질환 및 한의학적으로 허증(虛證)·한증(寒證)으로 진단되는 경우에는 뜸 시술이 주로 시행됩니다. 보다 실질적인 관점에서 비교해 보면 침 시술로써 자극하고자 하는 경혈 및 경락에 침보다 더 강력한 온열자극을 집중시켜 주고자 할 경우 뜸 시술을 선택하게 됩니다. 그러나 한방의료기관의 환기시설 설치 규정 및 환자의 피부에 화상을 입힐 위험의 문제로 뜸 시술은 상대적으로 덜 응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ㅤ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이승제 한의사 드림ㅤ
한의학
한의학 이미지
Q.  한방병원에서 치료가 유리한 질병들은 무엇이 있나요?
ㅤ안녕하십니까?ㅤ한의학 및 한방의료는 아주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질병과 상해에 대한 치료의 경험이 누적되어 형성된 체계인 만큼, 기본적으로 우리가 겪을 수 있는 거의 모든 질환에 대한 대응책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의과와의 비교우위를 고려할 때 유효성과 비용효율성 측면에서 한의과 내원이 더 낫다고 하기는 어려운 영역들도 존재합니다. 이를테면 큰 사고를 당해 응급수술이 필요한 경우나 긴급히 항생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에는 양방병원에 내원하시는 편이 좋을 것입니다.ㅤ반면 한방의료는 ① 급성기 이후 만성질환의 관리, ② 수술 및 큰 병을 앓은 후의 조리와 회복, ③ 의과에서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한 각종 병증의 진료에 있어 뚜렷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또한 근골격계 통증질환 영역에서는 ④ 비수술적 치료에 더불어 한의사가 직접 시행하는 추나의학 시술이 큰 유효성을 보이고 있으며, 고전적인 양생(養生; 건강관리)의 측면에서 ⑤ 계절마다 기후의 변화에 맞추어 질병을 방지하는 미병치료(未病治療) 및 몸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체질적으로 부족한 것을 보충하는 상복약 등의 개념으로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ㅤ이러한 경우에는 한의원·한방병원 등 한방의료기관에서 한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면 보다 적절할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앞으로 아프실 일은 가능한 없어야겠지만, 혹여라도 질문자님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적합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하실 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이승제 한의사 드림ㅤ
12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