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Q. 주식에서 갭상승, 갭하락의 의미 문의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갭이란 지금까지 진행되어 오던 추세가 갑자기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져 주가가 급등 혹은 급락함으로써 차트 상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갭이 생기면 향후 주가가 큰 변화의 추세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갭으로 인한 종목의 가격은 향후 주가변동에 있어, 지지선 또는 저항선 역할을 하게 됩니다. 지지선이란 어느가격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려고 하는 방어선을, 저항선이란 어느가격 이상 올라가지 않으려는 한계선을 의미합니다.또한 갭을 메운다는 의미는, 가령 2천원이던 주식이 갑자기 갭상승하여 2200원이 되었을 때 해당 2200원 가격이 깨지고 하락하게 되면 2천원까지 빈공간을 메우며 하락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Q. 경제 용어 중에 상실수익액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상실수익액은치료를 하더라도 더 이상 치유되지 않는 고정된 증상이 사고 전 일을 하는데 지장을 주거나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불편을 주는 정도를 노동력상실율로 평가하고, 그 노동력상실율만큼 소득을 상실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향후 얻을 소득액에 노동력상실율을 곱한 금액을 장해로 인한 상실수익액으로 산정하여 보상하는 것을 말합니다.따라서 장해 상실수익액이란피해자에게 노동력을 상실하는 장해가 남는 경우, 노동력상실로 인해 장차 소득을 얻는 데 지장을 주는 정도를 금액을 계산하여 보상하는 것으로, 장해 상실수익액은 향후 얻을 소득액에 노동력상실율을 곱한 금액이 됩니다.
Q. 고객확인절차(KYC)의 종류에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KYC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1) CDD(Customer Due Diligence, 고객확인제도)CDD는 거래가 자금세탁 등 불법행위에 이용되지 않도록 디지털자산 거래소가 고객의 성명, 주소, 연락처 등을 추가로 확인하는 제도입니다. 2) EDD(Enhanced Due Diligence, 강화된 고객확인제도)EDD는 CDD를 강화한 것으로 디지털자산 거래소가 고객 및 거래 유형에 따라 위험도를 평가하고 고위험 고객이나 거래에 대해서는 일반 고객 또는 거래보다 강화된 확인절차를 통해 고객을 확인하는 시스템입니다. EDD를 통해 효율적으로 세금탈루 및 자금세탁행위 등의 이상거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의심거래보고(STR, Suspicious Transaction Report), 고액현금거래보고(CTR, Currency Transaction Report) 등의 이상거래를 포착하는 별도의 시스템을 운영해야 합니다.
Q. 선물지수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매일 1%씩 수익이 나는 것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프로그램을 이용한 매매로 꾸준한 수익을 낸다고 하는 경우는 대부분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하루 1%라도 누적된다면 월 30%가 넘을 정도의 매우 높은 수익률에 해당하고, 주식시장의 방향성은 매우 숙련된 투자자라도 100% 맞추는 것은 불가능합니다.특히 프로그램을 이용한 매매는 차트적인 분석으로 일정 요건에 해당할 경우 사고 팔도록 프로그래밍 된 것인데, 이는 단기간으로는 어느 정도 맞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적용되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시장의 트렌드나 분위기는 끊임없이 변화하며 차트적인 움직임도 매번 규칙대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저러한 매매는 신뢰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판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