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일이 익으면 색깔이 변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과일(열매)이 익으면 탐스러운 색을 띠는 이유는 당연한 얘기지만 과일 속에서 색소 물질이 새롭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색소 물질이 왜 만들어지는지, 왜 과일마다 다른 색소 물질이 만들어지도록 진화했는지는 과학자들도 아직 정확히 밝히지 못했다. 유전적 요인부터 빛이나 온도, 습도 같은 외부 환경요인, 자손을 널리 퍼뜨리려는 생명의 본성 등이 복잡하게 얽혀 진화의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물론 몇 가지 유력한 가설은 있다. 열매가 자신이 잘 익었음을 동물에게 알리기 위해, 그래서 열매를 먹은 동물을 통해 씨앗을 더 멀리 퍼뜨리기 위해 색과 향기를 내는 물질을 만든다는 설명이 대표적이다. 속에 품은 씨가 영글기 전까지는 나뭇잎 사이에 꼭꼭 숨어 있다가, 씨가 영글고 과육 속에 당분, 지질, 단백질 등이 풍부해지면 화려한 색과 향기로 존재감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Q. 원자력 발전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장점 : 타 발전원과 비교하여 원자력발전의 장점으로 평가할 수 있는 요소는 정책적, 정성적 그리고 정량적인 요소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에너지안보는 기술과 자원 확보의 정책·정성적 관점 요소이며, 친환경성과 경제성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이다에너지 안보, 친환경성 , 경제성 면에서 우수하다단점 : 방사선 피폭, 붕괴열, 방사성 페기물 등이 있습니다.
Q. 눈의 결정 모양 다양하게 생기는 원리?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이 만들어지는 온도에 따라 나뭇가지, 별, 부채, 꽃과 같은 다양한 모양이 나온다. 섭씨 영하 2도의 비교적 따뜻한 날씨에는 판 모양의 눈이 만들어진다. 영하 5도 정도에는 주로 긴 기둥 모양이 만들어진다. 기둥을 자세히 보면 바늘 모양처럼 가는 것과 육각기둥형태인 것, 기둥이 2개 겹쳐진 것 등을 볼 수 있다. 영하 15도의 추운 날에는 가장 일반적인 눈이 만들어진다. 전체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결정들이 쉽게 엉겨붙기 때문에 가지를 많이 친 복잡한 모양이 나온다. 우리가 좋아하는 함박눈은 기온이 영하 5도 이상으로 높은 포근한 날에 내린다.습도도 눈 모양에 영향을 준다. 습도가 낮은 날에는 편편한 기둥 모양과 같은 단순한 모양이 많다. 반면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별, 나뭇가지 등 여러 갈래로 나뉜다. 그러므로 극지방 같은 건조한 곳은 기둥 구조의 눈 결정이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륙에서 바람이 부는 날은 단순한 눈이, 바다쪽인 남쪽에서 바람이 불어올 때는 수증기 유입이 많아 다양한 모양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