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에서 라스콜니코프의 사상이 당시 러시아 사회에 어떤 영향을 반영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죄와 벌에서 라스콜니코프가 노인를 죽이는 이유는 단순히 돈을 위해서가 아니였습니다. 세상은 평범한 사람과 평범하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는데 자기 자신이 평범하지 않은 사람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죽였다고 하고 있습니다.그는 평범한 사람은 인간 종의 존속을 위해서만 존재하고 평범하지 않은 사람은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것을 구분하는 것은 자연법칙과 사회이고 평범하지 않은 사람은 극소수라고 했습니다. 평범하지 않은 사람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평범한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되더라도 괜찮다고 규정했고, 그것을 화긴하고자 실험한 것인 살인이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살인 후 스스로 모순을 겪고, 그것에서 탈출하고자 여러가지 이유를 대며 자기 합리화를 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라스콜니코프의 사상은 이후에 니체가 주장한 위버맨쉬 개념과도 유사성을 가집니다. 라스콜니코프의 사상처럼 러시아 사회가 공산주의 사회로 나아가는 것에 대한 위험성을 도스토예프스키가 경고한 것은 아닐까 생각됩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페르소나는 원래 무엇을 의미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페르소나는 사전적으로 지혜와 자유의사를 갖는 독립된 인격적 실체. 삼위일체론에 이용되는 개념으로, 신의 존재 양식을 뜻합니다. 페르소나는 그리스의 고대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러다가 라틴어에 해당 단어가 들어가면서 사람, 인격이라는 말의 어원이 되었고, 심리학에 있어서 타인에게 비치는 외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각지역마다 말투가 다른이유가 먼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세종대황이 한글을 만들이 이전부터 각 지역에서는 그 집단들이 사용하던 말과 말투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시초를 알 수는 없지만 오랜 세월 거쳐오면서 시간이 만들어 낸 것입니다. 사투리, 방언이라고 하는데 어떠한 물건에 대해 개념은 같으나 명칭이나 지칭이 다르고, 어순이 같으나 억양이 달라 말투 등 느낌이 다릅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고 쓴다고 하더라도 한글은 표음, 표기문자로 소리를 글자로 표현한 것이지 모든 것에 대한 명칭이나 오랜 세월 해오던 말 자체를 새로이 만든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말을 글로써 표현하고자 만든 기호인 것입니다. 대단한 것은 이러한 지역마다 다른 사투리를 한글로 모두 소리나는대로 표기할 수 있다는 것에서 한글의 대단함을 또한번 느끼게 됩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서울말이 표준어가 된이유가 멀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서울이 대한민국의 수도이기 때문입니다. 수도이기 때문에 정치, 문화의 중심지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 1936년 조선어표준말모음 이후에 표준어에 대한 개념이 대두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 표준어를 공표하던 당시는 모든 서울사람들이 쓰는 말을 지칭하지 않았고, "교양있는 사랑들이 쓰는 현대의 서울말"을 표준어라고 지칭하였습니다. 이러한 표준어도 규정이 있으므로 국립국어원에서 수시로 심의하여 수정한다고 합니다. 현행 표준어 규정은 1988년 문교부 공시로 공표되었습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거거익선이라는 단어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원래는 다다익선多多益善이라는 말에서 변형된 것으로 다다익선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입니다. 거거익선은 한자로 巨巨益善 '클 거'자를 써서 크면 클수록 좋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나 형태 등이 작은 것보다는 큰 것이 더 좋다는 뜻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