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반고흐 작품이 인정받은건 언제부터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흐가 유명해진 것은 그의 사후에야 이루어졌습니다. 그의 작품을 인정하고 수집한 인물들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반부터였으며, 그의 작품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는 계기는 20세기 중반 이후부터입니다.특히, 1940년대 이후에는 고흐의 생전의 작품들이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그의 작품을 수집하고 전시하는 미술관들이 생겨나면서 그의 인기와 영향력이 점차적으로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고흐의 작품이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Q. 빅터 프랭클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 경험을 토대로 로고테라피를 창안했는데, 로고테라피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심리학 혹은 심리치료 란 어떤 학문인가? 로고테라피를 창시한 빅터프랭클 박사는 심리학 혹은 심리치료를 한마디로 “동기이론 (motivation theory)”이라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심리학이란 인간을 움직이는(move) 동기가 무엇인지 이해하려는 학문이라는 것입니다. 오늘 내가 느낀 감정, 내가 하게 된 생각들, 행동들, 결정, 선택에 어떤 동기가 영향을 미친 것인가? 나를 이렇게 저렇게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하게 ‘움직인 동기’가 무엇인지, 혹은 타인의 감정이나 생각, 행동에 어떤 동기가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고 싶은 것 입니다. 따라서 모든 심리학은 각각의 이론 모두 인간을 움직이는 동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정신분석에서는 인간을 움직이는 동기를‘ 성적 쾌락에의 동기’로 설명하고 있으며, 개인심리학에서는 인간을 움직이는 동기를‘우월성에의 동기 혹은‘힘과 권력에의 동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프로이드 박사는 정신분석을 통해서 결핍된 인간의 성적 쾌락에의 동기가 인간을 움직이는 핵심적인 동기라고 설명하고 있고, 애들러 박사는 개인심리학에서 기본적으로 열등한 인간은 우월과 힘에 대한 동기로 인해서 움직여 진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빅터프랭클 박사는 인간을 움직이는 가장 1차적인 동기를 ‘의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동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성적 쾌락에의 동기나 우월성에의 동기가 물론 어떤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두가지 동기에 더 우위에 있는 가장 근본적인 1차 동인이 되는 것이 바로 인간의 ‘의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동기’라는 것입니다.
Q. 토테미즘, 샤머니즘, 애니미즘 등 토속신앙을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샤머니즘과 토테미즘이 자연물을 숭배하는 사상이라면, 애니미즘은 정령 숭배1)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한 물체에 정령이 깃들여져 있다고 보고, 그 정령을 신봉하는 사상을 말한다. 애니미즘은 생물이나 무생물에 혼령을 부여하는 것을 뜻한다. 애니미즘은 자연물에 깃들여져 있는 초자연적 존재, 즉 신·정령·영혼·사령·요괴 등을 숭배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