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유를 가열하면 표면에 생기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우유를 가열할 때 표면에 생기는 얇은 막은 단백질(락토글로불린, 지방, 유당,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막이 생기는 원리는 온도가 높아지면, 수분이 증발하고 오일 성분이 농축되어 단백질이 응고되어 공기와의 경계면에서 발생합니다. 우유 표면의 막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Q. 바닷물을 생활 용수로 변경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바닷물을 생활 용수로 변경하는 방법으로 증류법과 역삼투압법, 해수 담화법이 있습니다.증류법은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바닷물을 끓여 수증기를 만든 후 이를 다시 응축시켜 담수를 얻습니다. 수증기는 소금을 포함하지 않은 순수한 물 입자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냉각하면 담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역삼투압법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반투막을 이용해 고압으로 바닷물을 밀어 염분을 걸러내는 원리입니다. 바닷물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순수한 물만 반투막을 통과하여 담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축전식 해수 담수화 방법은 최근 개발된 기술로, 전기를 이용해 바닷물에서 소금을 정제합니다. 해수 속 소듐과 염소 이온을 각각 음전극과 양전극으로 이동시켜 담수를 얻는 방식입니다. 에너지 효율이 높아 주목받고 있습니다.
Q. 메탄올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메탄올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주요 용도로는 화학 원료로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생산이 있습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대체 연료 및 옥탄가 향상제로 사용되며, 전자 산업에서는 칩 제조와 식각에 이용됩니다. 또한, 살충제와 의약품의 원료, 용매로도 사용되며, 폐수 처리와 바이오디젤 생산에도 활용됩니다.
Q. 물보다 약산인 물질이 물과 반응할 때의 산염기 반응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물보다 약산인 물질이 물과 반응할 때 산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산-염기 반응의 정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에 따르면, 산은 양성자(H⁺)를 주는 물질이고, 염기는 양성자를 받는 물질입니다. 물보다 약산인 물질이라도, 물과의 반응에서 양성자를 줄 수 있다면 산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이 양쪽성(amphoteric) 물질로, 상황에 따라 산 또는 염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몸속 전해질은 액체인가요? 아님 고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몸속의 전해질은 체액에 녹아 있는 이온으로, 물과는 다릅니다. 전해질은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경과 근육 기능을 조절하고 체액의 삼투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해질 자체는 액체가 아니며, 체액 내에 녹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주사기로 직접 뽑아낼 수 있는 형태는 아닙니다. 전해질은 체내 수분과 함께 존재하며,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