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거 쓰던 갓의 모양은 왜 다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갓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고 고려 공민왕 때는 관리들에 착용을 지시하면서 사회적의 위상과 의미를 지니고 되었습니다. 유교사회였던 조선에서는 갓은 외출시나 의례 시 착용해아만 할 정도로 일반화되었습니다. 우리가 사극에서 보는 사대부의 갓은 패랑이, 초립을 거쳐 발달하였던 것입니다. 붉은 갓은 무관이 쓰고, 제례 때는 흰 갓을 써서 의례용도에 따라 세분화되는데 일반적으로는 흑립, 검은 갓을 썼습니다. 평민들도 갓을 썼는데, 특정 집단은 패랭이 이상은 쓰지못했던 것이 신분제 철폐의 시대 흐름 속에 없어졌습니다. 아직도 갓은 의식이나 행사 때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Q. 옛날 조선시대때 부마의 사회적 지위는 어떠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일단 평민은 과거 급제라든지 관직에 오르지 못하면 접근기회조차 없습니다. 그냥 보통양반도 어렵고, 부와 높은 관직을 대대로 지낸 유명 양반가가 대부분인데, 왕실에 며느리로 들어가는 것과는 좀 아래의 일이었습니다. 비나 빈으로 들어가면 부와 권력이 따르지만, 사위가 되는 일은 부는 얻을지 모르지만 관직에 오르지 못하니 차별 또는 한계가 뚜렷했지요. 나 빈은세자나 후대 왕을 배출한다는 것에 비해 공주나 옹주와 혼인해 왕실 구성원이 된다는 것은 정사에 관여치 못한다는 의미이니, 그리 인기있는 선택은 아니었던 것입니다.
Q.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와 에르미타주 미술관에 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예카테리나 대제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겨울궁을 지으면서 많은 미술품과 보석. 장식, 장서 등을 보유하게 되는데, 최초의 계기는 독일상인이 독일 군주에게 팔려 했다 거절덩한 컬렉션이었는데, 루벤스, 렘브란트 등의 네덜란드 그림들이었습니다. 이후에도 유럽 각국으로부터 계속 컬렉션을 구입해 결국 건축물을 더 지어야 했습니다. 아마도 여제는 겨울궁에 어울리는 품격있는 컬렉션을 갖추고 싶었던 듯합니다.이 미술관은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국립미술관이 되고, 왕족과 귀족들의 소장품이 더해지며 최대의 미술관의 위용을 더합니다.
Q. 철학의 발전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서양 철학의 뿌리는 고대 그리스 철학입니다. 플라톤의 관념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이 서양 모든 철학의 뿌리입니다. 중세 철학은 신앙 우위의 시대라 발달이 미진했지만,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이 발전해했는데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가 대표적입니다. 근대철학은 대륙 합리론과 영국 경험론이 나타났는데 데카르트와 베이컨이 대표적이죠. 이 둘은 독일 철학에 의해 종합되는데, 칸트와 헤겔입니다. 그 이후는 다양한 철학사조가 나타나는 현대철학입니다. 실존주의, 구조주의, 정신분석. 해체론 등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습니다.철학은 모든 학문의 학문이라 할 수 있는데, 인문학의 핵심이자 정수라 할 수 있습니다. 철학이 우리 삶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 기초가 되고 실용주의의 경우 그것을 지향했습니다.
Q. 조선시대 때 김만덕은 어떻게 거상이 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김만덕은 조선 정조 대에 막대한 부를 축적한 상인입니다. 기생의 몸종이다, 수양딸이 되어 제주도에서 유명한 기생이 되었고, 이후 독신녀로서 육지 물품과 제주도 물품을 거래하는 유통업으로 큰 부를 축적했습니다. 만덕은 제주도에 기근이 닥쳐 조정에서 구휼식량을 실어 제주로 보냈는데, 배가 난파하여 큰 위기를 맞이했을 때 재산을 털어 육지에서 쌀 500가마를 들여 제주도민을 살려 영의정 채제공으로부터 큰 칭송을 받았습니다. 사업수완이 남다르고 위 기부 사례처럼 통큰 마인드와 결단력이 비결이 아니었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