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우환 화백의 작품세계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우환 화백은 한국 출신의 재일교포 화가이자 이론가이자 교수입니다. 그는 1960년대 후반 일본에서 유행한 모노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70년대부터 작품활동ㅈ을 본격적으로 합니다.70년대 전반부는 점연작을 점으로부터라는 작품을, 후반부는 선연작을 선으로부터라는 작품을 발표합니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독일 메이저 갤러리 개인전을 열게 됩니다.또한 87년 바람과 함께를 발표, 90년대에는 조응 시리즈를 내놓습니다. 그의 추상미술세계의 키워드는 관계에 있습니다. 조응도 중요한 키워드입니딘. 사물과 사물의 관계를 인간 대 인간, 인간 대 사물, 인간과 세계로 연결하는 것입니다.그럼에도 크게 주목받거나 인정받지 못했는데 최근 가치가 재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추상미술에서 새로운 작가를 발견하려는 움직임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Q. 화이부동 사자성어의 출처가 논어라고 알고 있는데 최초 그말이 왜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논어에 등장하는 말입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부화) 즉 군자는 조화를 추구하니 각자의 시선이 다르고, 소인을 이익을 쫓는데 한결같이 같으니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왕건이 후대왕에게 남긴 훈요10조에도 화이부동이 나옵니다. 중국의 문물을 받아들이되, 우리와 사정과 형편이 다르니 조화로워야 한다는 뜻으로 중국문물 수용시 자주성과 주체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번 회담에서도 한중의 입장이 다르나 조화를 꾀했으면 좋겠다는 박 장관의 의도로 보이며 왕이 부장이 군자는 그래야한다고 화답한 것으로 보입니다. 논어에 등장하는 말로 중국에 입장을 부드럽게 이야기한 외교적 수사로 보입니다.
Q. 사투리와 표준어의 차이는 벌어지고 있나요? 줄어들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실질적인 데이터로 제시하기는 어렵습니다만, 그 차이가 줄어드는 것은 분명합니다. 대중매체의 영향도 클 것이고요, 수도권 인구비중이 50퍼센트를 넘고 있는 점, 지방의 사투리와 방언을 사용하는 인구가 줄어드는 점, 기성세대와 달리 젊은 세대들이 표준어 구사를 선호한다는 점 등이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제주도만 해도 제주도말을 젊은 세대가 사용하지 않아 점차 방언이 사라지고 있지요.
Q.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사상의 핵심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토 히로부미의 동양평화론에 큰 감명을 받은 이가 바로 안중근입니다. 그래서 히로부미를 환영하는 행사에 참여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토 히로부미가 을사늑약을 체결하고 외교권을 빼앗고 초대통감이 되면서 안중근의 배신과 분노감은 커가고, 이에 결국 이토를 저격하게 되지요.옥중에서 진정한 동양평화론을 집필하게 되는데, 사실 이토가 표방한 것과 핵심은 같습니다. 즉 서구열강의 침략에 맞서 동양3국이 단합해 막고, 평화를 지켜낸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토의 주장은 침략을 위한 허울이었고, 안중근의 그것은 피해자의 입장에서 쓴 강력한 호소라는 것이다른 점입니다.
Q. 중국의 문화대혁명 역사를 읽고 궁금증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마오의 16개조의 지침이 홍위병의 행동강령이 되었고 구시대의 문화, 유물을 파괴하라고 하였으니 마오로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때 중국의 전통문화는 부르주아문화로 지목되어 거의 파괴되었습니다. 공자, 제갈량 등과 관련된 사당과 묘도, 황실의 요리도, 소림사의 무술, 유교적 제서도 모두 파괴되었습니다. 이를 방관하였으니 마오의 책임이겠지요. 저우언라이에 의해 지금의 자금성이나 둔황 ㅇ막고굴 등 일부라도 지켜냈으니 다행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