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가 급격하게 발전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굉복 후 분단과 전쟁으로 아프리카 내란국가 등의 저개발국가의 전형이었지요. 이승만 정부는 의무교육을 실시해 숙달된 노동자의 양산 토대를 갖췄고,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계획, 국가주도, 수출중심, 중공업 중심 정책으로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고도성장을 달성하게 되지요. 교육이라는 인적자본과 산업화 정책이 결합되어 세계 속에 빠지지 않는 경제대국이 되었습니다. 물론 이 과정에 저임금, 장시간 노동 등 노동환경의 열악함으로 많은 노동자, 농민의 희생이 있었고, 특정 대기업의 독점적 경제장악 등의 문제도 있었지요.
Q.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의 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조가 너무 오래 재위한 것이 비극의 배경이라고 볼 수 있지요. 영조는 장수재위로 유명한데 세자가 왕위에 오르지 못한 1차적 환경이었지요. 그러면 세자 주위로 차기를 노리는 세력이 들러붙고 이는 붕당간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는데요. 노론과 소론의 갈등이 2차적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영조는 경종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왕위에 오른게 되는데요. 경종을 왕위에 앉히는 과정에서 노론과 소론이 경합을 벌이는데 소론의 승리로 경종이 즉위했지요. 경종대 집권세력은 소론인데, 경종이 짧은 재위 속 죽음으로 노론은 재기를 도모하는데 연잉군이 추대되었고 노론의 지원으로 연잉군이 왕위에 오르는데 영조입니다. 영조는 무수리의 소생으로 왕위에 오르는 정통성이 부족했고 이는 영조의 컴플렉스가 되었지요. 다시 영조가 오래 재위하면서 노론세상이 되었는데 소외된 소론이 세자와 연결하며 재기를 도모하자, 영조도 어쩔 수 없이 세자를 제거하게 되어, 결국 사도세자의 아들인 산, 정조가 즉위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