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서울에서 발견된 백제 시대의 유물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성시대가 아주 연대가 올라가서 실질적으로 유물은 많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몽촌토성이나 풍납토성 그리고 석촌동 고분이 대표적인 백제 유적입니다. 백제 유물은 공주와 부여에서 많이 출토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예전 독일에서 종교때문에 30년전쟁이라는 전쟁이 있었다던데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때문에 벌어진 전쟁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0년전쟁은 구교와 신교 사이의 전쟁입니다. 이때 구교는 가톨릭을 신교는 개신교를 말합니다. 이 둘의 종교 전쟁인데 종교적 이유 때문만이 아니라 전쟁에서 진 제후의 영지를 빼앗을 목적의 세속적인 이유도 작용했습니다. 30년 전쟁의 결과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되어 신구교간 타협이 이루어졌으며 이 조약은 오늘날 근대적 조약의 시효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조의 삼전도 굴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을 반정으로 쫓아내고 임금에 오른 인조와 서인 남인 연합정권은 친명배금정책을 펼쳤습니다. 이에 여진족인 후금의 침입을 받는데 정묘호란이라고 합니다. 형제관계를 맺었는데 정책의 변화가 없자 후금이 청으로 선포한 이후에 조선을 재침하는데 이를 병자호란이라고 합니다.인조는 강화도로 가 항전을 하려하였으나 청군에 막혀 남한산성에서 항전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식량은 떨어지고 어려움을 겪다 항복하게 되는데 송파 삼전도에서 항복의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삼배구고두라는 인조가 땅에 이마를 찧으며 의식을 하는데 이마에 피가 흥건하였습니다. 이를 삼전도의 굴욕이라 합니다. 군신관계를 맺게 됩니다.이후 청은 산해관을 넘어 명을 무너뜨리고 중원의 새주인이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넘어간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후기 몽골의 침입과 항전에 이은 강화로 고려에는 새지배층이 출현하였습니다. 권문세족이라 합니다. 권문세족에는 고려 전기부터 이어온 문벌귀족도 있고 무신 가문도 있었지만 친원세력이 많았습니다. 이들은 대토지를 소유하고 왕권을 위협할 정도였습니다. 사회경제적으로 겸병이 횡행해 농민이 몰락하고 있었습니다.이러한 가운데 공민왕이 등장해 친원파를 숙청하고 개혁정책을 실시합니다. 이 개혁을 뒷받침할 신진관리를 등용하는데 그들이 신진사대부의 뿌리입니다.한편 고려 말에는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이 잦아 그 피해가 막심했는데 이를 물리치며 성장한 신흥무인이 있었습니다. 최영과 이성계가 대표적이지요.위화도회군으로 이성계는 실권을 잡고 역성혁명에 찬성한 급진사대부와 함께 새 나라를 개창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국통일후에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왕조가 바뀐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통일신라 하대에는 잦은 왕위교체와 느슨해진 골품제와 왕실의 사치 등이 겹쳐 농민반란과 지방반란이 빈번히 일어났습니다. 내부로부터 무너진 요인이 강합니다.그러한 가운데 각지에서 자치권을 갖는 호족들이 나타났고 그가운데 견훤과 궁예가 두각을 나타내 각각 후백제와 후고구려를 세웁니다. 궁예는 학정으로 쫓겨나고 왕건이 후고구려를 이끌었는데 왕건에 의해 후삼국 시대가 통일이 됩니다. 고려의 탄생이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발해는 고구려의 후예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는 대조영이 건국한 나라입니다. 대조영과 발해 지배층에는 고구려 유민이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통일신라와 적대관계인 적은 있었습니다. 하지만 신라와 친선관계를 맺고 일본과 교류했습니다.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에 고려의 후손 즉 고구려계승의식을 명확히 했습니다. 당나라에서 신라와 경쟁을 벌이기도 했지만 당 문화와 고구려 문화를 계승 혹은 수용했습니다. 대다수 피지배층은 말갈인이었는데 말갈부족장을 통해 간접통치를 했습니다. 이런 직접통치력의 한계가 발해의 갑작스런 멸망의 원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솔거노비와 외거노비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사노비에는 솔거노비와 외거노비가 있었습니다. 솔거노비는 주인집에 살면서 각종 일을 맡아하는 것인데 나무를 하고 물을 길어오고 청소하는 등의 가사일뿐 아니라 주인집의 농지경작과 수확, 관리 등의 일을 하였습니다. 이 농경지가 주인집 가까이 있으면 주인집에 살면서 일을 했을텐데 만일 그 농경지가 다른 지역에 있다면 쉽게 말해 출퇴근이 안되겠지요. 그래서 외거노비가 생긴 것입니다. 외거노비는 자기가 잘 농업을 경영하면 일정량의 잉여를 갖게 되고 이에 생산의지가 높았습니다. 나중에는 자기 몸값을 지불하고 면천하여 양인으로 될 수 있고 또 그란 사례가 꽤 있었습니다. 주인의 간섭이나 매질 등도 피하고 가정을 이루어 성공한 사례가 있기에 외거노비의 형편이 훨씬 좋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 부여라는 나라에서 영고라는 제천의식을 했다고 하던데 영고라는 제천의식은 어떤것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사시대부터 하늘은 신성시했던 문화가 내려왔습니다. 단군신화도 하늘에서 내려온 특별한 존재라는 의미가 잏지요. 부여에는 영고, 고구려는 동맹, 동예에는 무천이라는 제천의식이 있었습니다. 부여와 고구려 제천의식은 수렵문화 영향이 있어 가축사냥을 잘하게 해달란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리하여 백성들의 풍요를 기원한 것이지요.이에 반해 남부에 자리한 삼한에서는 계절제가 있었는데 오월제와 10월제가 그것입니다. 오월제는 농사파종을 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었고 10월에는 수확의 기쁨을 나눴던 것입니다.즉 고대국가나 초기국가의 제천의식은 대체로 먹고사는 문제의 풍요를 기원한 것으로 보입니다. 농사나 수렵에는 날씨가 중요하니 하늘에 기원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남자요리사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궁중에서는 나인들이 요리를 하고 오늘날 주방장 같은 자리는 남자가 담당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예외작 현상이라 보입니다. 요리를 담당하는 직원들이 많고 왕을 위한 식사이다보니 남자가 지휘했던 것이지요. 일반 관청이나 관리들의 가정집에서는 여자노비가 주로 음식을 담당했습니다. 기생집이나 음식 주막같은 경우에도 대부분 여성이 담당했습니다. 남자들이 부엌에 드나드는 일을 수치스럽게 여겼던 시대이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는 여왕이 왜 나오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 역사를 통틀어 여왕이 나왔던 나라는 신라뿐이었습니다. 신라는 골품제라는 독특한 신분제로 가능했는데 성골 출신이 왕이 되어야하는데 남자가 없을 때 여왕이 나왔던 것입니다.조선은 특히나 남성 중심 문화였으며 엄격한 유교질서였기에 여왕은 나올 수 없는 구조였습니다. 왕비나 대비 등이 정치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는 금기가 엄격히 작용했습니다. 조선은 성리학적 통치질서를 생활윤리로까지 확대했습니다. 엄격한 위계질서가 특징인데 적장자가 왕의 정통성의 기준이었습니다. 적장자란 왕과 중전 사이의 아들이 적자이고 그중 제일 윗아들이 장자로서 장자가 죽으면 그다음 아들이 적통을 이어받는 식이었습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