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IT 개발자 전망이 밝을까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현재 AI의 발달로 인해서 주니어 급의 개발자들의 실력 정도는 AI로 대체가 가능해 신규 개발자는 취업난이 매우 심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실력이 있는 시니어급의 개발 인력은 품귀 현상으로 어디든 좋은 곳으로 취업이 가능합니다.다만 작성자님께서 신규로 개발직군을 원하시는 것 같네요.. 요즘은 AI, 머신러닝쪽이 활발합니다. 하지만 이쪽 분야도 석사급은 되어야지 한국에선 취업이 잘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AI쪽으로 가시려면 파이썬과 수학 공부를 진짜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수학을 못하면 코딩은 정말 힘들 수 있어요.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히려면 우선 실력이 최우선적입니다. 여기에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겠네요.포트폴리오는 코드 공부하면서 깃헙에 코드 업로드를 하거나 블로그에 꾸준한 개발 내용 및 공부한 것 정리 및 프로젝트를 올리심과 동시에 해커톤, 공모전, 오픈소스 기여, 인턴 등 여러 가지 활동이 추가되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IT개발자의 전망이 밝다고 저는 생각하지만 뒤늦게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은 저는 비추드립니다. 매년 컴공 및 비슷한 과에 몇만명씩 대학교 졸업하는 인원이 나올텐데.. 재능이 있는 것이 아닌 한 매우매우 힘든 길이 될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Q. 염산은 우리몸이나차량등에 어떤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염산은 강산 중 하나로 물질이나 인체에 닿을 시 매우 부식성이 강한 위험 물질입니다.먼저 염산이 인체에 닿을 경우 조직의 단백질을 응고시키며 수분을 탈수시키고 세포를 파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피부는 화학적인 화상이 발생하게 되고 농도에 따라 가려움, 따가움부터 시작해 피부 괴사 및 검게 탈 수도 있습니다.눈에 닿을 경우 각막에 치명적이거나 실명 위험까지 미칠 수 있습니다.염산을 흡입할 경우 인후통, 기침, 콧물 등이 발생하게 되며 심각한 경우에는 폐포가 손상되어 폐수종이 발생하여 질식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염산이 차량 및 금속 등에 닿으면 도장이 벗겨지거나 녹이 발생하게 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Q. 스트리밍 플랫폼 계정 보안, 블록체인 개발자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일반적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과도한 보안 요구가 없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이 필수는 아닙니다. 만약 계정 로그인과 같은 보안쪽에서는 구현 복잡도가 상당하고 오히려 복잡한 인증 때문에 사용자 UX 악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로 인해 가입자 수와 신규 가입자 수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블록체인을 도입하려고 하신다면 DID 기반 로그인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DID 지갑을 통해서 개인키로 로그인을 할 때 플랫폼이 공개키로 검증하는 방식이 있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블록체인 개발자를 따로 외주를 주거나 채용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기존 개발팀을 교육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면 비용 절감을 볼 수 있겠지만, 보안 쪽에선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때 필요한 기술 스택은 스마트 컨트랙트: Solidity (이더리움), Rust (Solana)블록체인 프레임워크: Ethereum, Polygon, Hyperledger, IPFS, DID 플랫폼 (e.g. KILT, Ontology)인프라 구성: Web3.js, ethers.js, wallet integration (MetaMask, WalletConnect) 등이 있습니다.반면, 외주를 맡기거나 새로 채용을 하시게 된다면 월 700~1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 것으로 생각됩니다.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스트리밍 계정 보안을 위해서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것은 비효율적으로 보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Q. 프로필렌 산업 한국업체 생존가능성?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우선 프로필렌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프로필렌은 탄소 3개짜라 탄화수소(C₃H₆) 석유화학 기초 원료인데요.이 프로필렌은 풀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이소프로판올 등 수많은 제품의 원료로 쓰입니다.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부품, 의료기기, 포장재 등 거의 모든 산업에 필수로 안들어가는 곳이 없습니다.그래서 이 프로필렌이 없으면 현대 산업의 거의 대부분이 마비될 정도라고 하여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웁니다.그럼 프로필렌이 만들기가 쉽냐!? 전혀 아닙니다.결론부터 말하면 만들기가 어렵고 비용이 매우 많이 듭니다.주요 생산 방식을 3가지 방식을 나뉠 수 있는데 나프타 크래킹(NCC), 프로판 탈수소(PDH), FCC 부생수급으로 나눕니다.나프타 크래킹의 경우 석유계 원료를 고온에서 분해해 프로필렌을 생성하는 방식인데요. 만드는데 매우 많은 비용이 들고 CO2역시 많이 발생합니다.프로판 탈수소는 프로판에서 수소를 떼어내 프로필렌을 만드는데 설비 투자 비용이 매우 크고 운영 난이도도 상당히 높습니다.FCC 부생수급의 경우 정유공정 부산물로 생산이 가능하지만 생산량이 적은 대신 가격은 다른 방식에 비해 저렴하고 상대적으로 만들기가 쉽습니다.최근 한국 업체에서 중국의 대규모 증설과 저가 공급 공세에 타격이 매우 큰데요. 특히 PDH 설비를 대규모로 증설하여 프로필렌을 대량 생산해 저가 공세를 펼처 국내 가격이 하락했습니다.그로 인해 대한유화, 여천NCC등은 적자를 기록하고 일부 감산 또는 셧다운에 들어갔습니다. 따라서 이런 현상이 계속 되면 부도의 위험도 존재할 수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