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

이혜수 전문가
시몬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여름에 에어컨 적정 온도는 어느정도로 해야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공식적으로 산업통상자원부나 에너지과리공단 등에서 여름철 에너지 절약을 위해 26도를 권장하고 있는데요. 이것은 실내외 온도차가 5도 이내면 인체에 부담이 적어 냉방병 예방하는 것과 전력 소비를 줄여 전기세를 절감할 수 있는 온도입니다.하지만 실제로 날씨가 무더울 때는 26도가 덥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죠그래서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내용대로 에어컨 온도를 24도로 내리게 된다면 훨씬 시원하고 쾌적해 질 수 있습니다.하지만 오랫동안 24도로 에어컨을 켜두게 된다면 냉방병의 위험이 있고 외부 온도와의 차이가 클수록 전기요금이 증가합니다. 보통 에어컨 온도를 1도 낮추면 젼력 소모가 약 6~10%정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따라서 에어컨 모델인 사용 시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26도에서 24도로 온도를 낮추게 될 경우 전력 소모가 약 12~20%가 상승하고 이로 인해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올 수 있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태풍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태풍은 열대지방의 바다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저기압 현상인데 발생하려면 여러 조건이 성립되야 하는데요.해수면 온도가 약26.5도 이상이어야지 수증기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수증기가 공기와 함께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생성되고 열 방출로 상승 기류가 강화됩니다. 이런 상승 기류로 인하여 공기가 계속 위로 빠져나가면 지표면의 기압이 낮아져 주변의 공기가 몰려오는데요. 지구가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가 직선으로 가지않고 회전하면서 들어오게 됩니다. 이게 태풍의 회전 구조의 시작이 되게 됩니다.이러한 과정들이 계속해서 진행되면 중심의 기압은 점점 더 낮아지게 되고 공기가 더 빨리 몰려들어서 강력한 바람이 형성됩니다. 이렇게 중심부는 눈이라고 하는 고요한 지역이 형성되고 그 주변은 강한 비바람이 몰아치게 되는 태풍이 형성되게 되는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IT 개발자 전망이 밝을까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현재 AI의 발달로 인해서 주니어 급의 개발자들의 실력 정도는 AI로 대체가 가능해 신규 개발자는 취업난이 매우 심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실력이 있는 시니어급의 개발 인력은 품귀 현상으로 어디든 좋은 곳으로 취업이 가능합니다.다만 작성자님께서 신규로 개발직군을 원하시는 것 같네요.. 요즘은 AI, 머신러닝쪽이 활발합니다. 하지만 이쪽 분야도 석사급은 되어야지 한국에선 취업이 잘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AI쪽으로 가시려면 파이썬과 수학 공부를 진짜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수학을 못하면 코딩은 정말 힘들 수 있어요.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히려면 우선 실력이 최우선적입니다. 여기에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겠네요.포트폴리오는 코드 공부하면서 깃헙에 코드 업로드를 하거나 블로그에 꾸준한 개발 내용 및 공부한 것 정리 및 프로젝트를 올리심과 동시에 해커톤, 공모전, 오픈소스 기여, 인턴 등 여러 가지 활동이 추가되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IT개발자의 전망이 밝다고 저는 생각하지만 뒤늦게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은 저는 비추드립니다. 매년 컴공 및 비슷한 과에 몇만명씩 대학교 졸업하는 인원이 나올텐데.. 재능이 있는 것이 아닌 한 매우매우 힘든 길이 될 것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나트륨 배터리의 제조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나트륨 배터리는 세계 1위 배터리 업체인 CATL이 2021년부터 상용화 계획을 밝혔고 현재는 낙스트라라는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올해 6월부터 양산에 도입한다고 하였습니다.이 나트륨 배터리의 제조 과정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제조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합니다. 다만 리튬 이온 배터리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cathode, anode, electrolyte의 리튬 기반 재료를 나트륨 호환 재료로 바꿔서 제조 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염산은 우리몸이나차량등에 어떤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염산은 강산 중 하나로 물질이나 인체에 닿을 시 매우 부식성이 강한 위험 물질입니다.먼저 염산이 인체에 닿을 경우 조직의 단백질을 응고시키며 수분을 탈수시키고 세포를 파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피부는 화학적인 화상이 발생하게 되고 농도에 따라 가려움, 따가움부터 시작해 피부 괴사 및 검게 탈 수도 있습니다.눈에 닿을 경우 각막에 치명적이거나 실명 위험까지 미칠 수 있습니다.염산을 흡입할 경우 인후통, 기침, 콧물 등이 발생하게 되며 심각한 경우에는 폐포가 손상되어 폐수종이 발생하여 질식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염산이 차량 및 금속 등에 닿으면 도장이 벗겨지거나 녹이 발생하게 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폭발물에서 사용되는 도폭선과 도화선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도폭선과 도화선은 모두 폭발물을 기폭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기능과 속도, 구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도폭선은 충격파에 의한 기폭 방식의 초고속 폭약 전달 장치로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내부의 고성능 폭약이 들어 있어서 점화를 하게 되면 폭발성 충격파가 초속 6~7km의 속도로 전달되어 다른 폭약을 기폭시키는 원리입니다.반면, 도화선의 경우에는 안에 화약이 들어 있어서 서서히 연소하면서 끝에 있는 폭약이나 기폭장치를 점화하는 방식입니다. 도화선은 도폭선과 달리 속도가 오래 걸립니다.쓰임새는 도폭선의 경우 광산이나 군사 작전 등에서 쓰이고 도화선의 경우 수류탄이나 불꽃놀이 등에 쓰이는 차이점이 있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도심에 있는 열섬으로 에너지를 만들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완전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기술적/경제적으로 제약이 크기 때문에 보조적으로는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그 예로 서울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열지도 기반 스마트쿨링 시범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도심 열지도를 분석하여 열축적이 심한 지역의 쿨루프를 도입하여 밤에는 적외선 센서로 건물 외피 온도를 파악하여 환기 시스템을 최적으로 제어를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전력 소비를 10~15% 감소하는 실험을 성공하였습니다.또 일본에서는 열전소자를 도시 배기열 회수에 적용하였는데요. 빌딩 배기구나 공장 굴뚝에 열전소자를 부착하여 미세 전기를 회수하는데 발전량은 미미하였으나 센서 전원용 및 에너지 자가 구동장치로 활용 중입니다.하지만 도시 열섬은 에너지 밀도가 낮고 기술적 효율 문제와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있어 현실적으로 큰 제약이 따르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스트리밍 플랫폼 계정 보안, 블록체인 개발자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일반적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는 과도한 보안 요구가 없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이 필수는 아닙니다. 만약 계정 로그인과 같은 보안쪽에서는 구현 복잡도가 상당하고 오히려 복잡한 인증 때문에 사용자 UX 악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로 인해 가입자 수와 신규 가입자 수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블록체인을 도입하려고 하신다면 DID 기반 로그인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DID 지갑을 통해서 개인키로 로그인을 할 때 플랫폼이 공개키로 검증하는 방식이 있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블록체인 개발자를 따로 외주를 주거나 채용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기존 개발팀을 교육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면 비용 절감을 볼 수 있겠지만, 보안 쪽에선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때 필요한 기술 스택은 스마트 컨트랙트: Solidity (이더리움), Rust (Solana)블록체인 프레임워크: Ethereum, Polygon, Hyperledger, IPFS, DID 플랫폼 (e.g. KILT, Ontology)인프라 구성: Web3.js, ethers.js, wallet integration (MetaMask, WalletConnect) 등이 있습니다.반면, 외주를 맡기거나 새로 채용을 하시게 된다면 월 700~1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들 것으로 생각됩니다.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스트리밍 계정 보안을 위해서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것은 비효율적으로 보입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프로필렌 산업 한국업체 생존가능성?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우선 프로필렌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프로필렌은 탄소 3개짜라 탄화수소(C₃H₆) 석유화학 기초 원료인데요.이 프로필렌은 풀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이소프로판올 등 수많은 제품의 원료로 쓰입니다.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부품, 의료기기, 포장재 등 거의 모든 산업에 필수로 안들어가는 곳이 없습니다.그래서 이 프로필렌이 없으면 현대 산업의 거의 대부분이 마비될 정도라고 하여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웁니다.그럼 프로필렌이 만들기가 쉽냐!? 전혀 아닙니다.결론부터 말하면 만들기가 어렵고 비용이 매우 많이 듭니다.주요 생산 방식을 3가지 방식을 나뉠 수 있는데 나프타 크래킹(NCC), 프로판 탈수소(PDH), FCC 부생수급으로 나눕니다.나프타 크래킹의 경우 석유계 원료를 고온에서 분해해 프로필렌을 생성하는 방식인데요. 만드는데 매우 많은 비용이 들고 CO2역시 많이 발생합니다.프로판 탈수소는 프로판에서 수소를 떼어내 프로필렌을 만드는데 설비 투자 비용이 매우 크고 운영 난이도도 상당히 높습니다.FCC 부생수급의 경우 정유공정 부산물로 생산이 가능하지만 생산량이 적은 대신 가격은 다른 방식에 비해 저렴하고 상대적으로 만들기가 쉽습니다.최근 한국 업체에서 중국의 대규모 증설과 저가 공급 공세에 타격이 매우 큰데요. 특히 PDH 설비를 대규모로 증설하여 프로필렌을 대량 생산해 저가 공세를 펼처 국내 가격이 하락했습니다.그로 인해 대한유화, 여천NCC등은 적자를 기록하고 일부 감산 또는 셧다운에 들어갔습니다. 따라서 이런 현상이 계속 되면 부도의 위험도 존재할 수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나이스 에너지절약 꿀팁 공유해주실 분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벌써부터 더워진 지금 전기요금 고지서 보면 한숨부터 나오죠.... 전기요금을 확실히 줄일 수 있는 생활 꿀팁과 냉'난방비 아끼는 팁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 에너지 절약 지원 제도를 알려드릴게요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는 팁에는멀티탭을 사용할 경우 콘센트만 뽑지말고 멀티탭 자체를 끄세요. 대기전력 완전 차단을 할 수 있습니다.에어컨 온도를 1도 정도 높이고 같이 선풍기를 틀면 방안에 찬 공기가 빠르게 순환되어 더욱 빠르게 방이 시원해집니다.그리고 피크 시간대(오후 2시~5시)는 전력 단가가 비싸서 최대한 그 시간대를 피해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냉'난방비 아끼는 팁으로는커튼 또는 암막 블라인드를 사용하여 햇빛을 차단하면 실내온도를 약 2도정도 낮출 수 있습니다.선풍기의 위치를 에어컨 바람 통로 쪽에 두면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겨울철 난방비 절약에는 집을 비우실 때 보일러 외출 모드를 실행하면 절약이 됩니다.창문에 단열 시트나 문풍지를 붙여주면 10~20%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정부와 지자체 에너지 절약 지원 제도에는에너지캐쉬백 제도가 있는데요. 전기를 절약하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해주는데 가구당 최대 연 10~30만원의 혜택이 있습니다. 참여 방법은 포털에 에너지캐시백을 검색 후에 신청하시면 됩니다.\에너지 효율등급 가전 환급입니다. 고효율 가전을 구입시 환급해주는 제도인데요 한국에너지공단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을 참고해주세요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