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닷물 수온이 올랐다고 하는데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바닷물 수온 상승과 해수면 상승은 지구온난화는 물론이고 해양생태계 파괴와 인간에게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최근 바닷물 수온은 약 1~2도 상승하였으며 전국적으로 15개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내려지고 8개 해역은 고수온 경보로 심각 단계가 발표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연근해 지난 50년간 연평균 표층수온은 1.23도 상승, 연간 평균 0.0241도씩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삼면바다에 평년대비 1~2도 수온이 상승한 관측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닷물의 수온 상승은 해양 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양식업 피해 및 원전 냉각에 영향을 주어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 다양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만약 바닷물 수온이 1동 상승한다면 해양생물이 대량 폐사하고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며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 일어나게 되면 폭염, 폭우, 가뭄, 폭설, 홍수, 태풍, 빙하녹음 등 기후재난이 증가하여 이상기후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Q. 여름철 전기사고 예방을위한 안전수칙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습하고 더운날씨인 여름은 전기사용량이 증가하여 감전, 누전, 화재 등 전기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그래서 주기적으로 전기안전진단이 필요합니다. 누전차단기 점검, 내외부 전선점검(누전되는곳은 없는지, 전선 피복이 벗겨진곳은 없는지 등), 사용하지 않는 전기코드는 뽑았는지, 전력소모량이 적당한지, 콘센트나 스위치가 파손된것은 있는지, 과열되는 전자제품 없는지 등을 점검함으로써 혹시 모를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Q. 여름철 에어컨 전기세를 줄이는 방법은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무더운 여름철 에어컨 작동하는것은 당연하지만 전기요금이 부담스럽습니다. 그래서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적정온도 유지, 커튼 및 블라인드로 햇빛 차단, 단열시트 붙이기, 에어컨 작동시 선풍기 함께 돌리기, 선풍기 앞에 얼음물 놓기, 사용안하는 코드뽑기 등으로 전기요금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