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GpR탐사관련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GPR탐사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지층과 다른 유전율의 차이를 보이는 땅속 공간이나 관로 및 연약층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GPR탐사 방법은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반사법 탐사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지표에 송.수신 안테나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하의 불균질대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 혹은 레이터파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자료를 처리하여 수행하면서 지하 내부를 영상화하고 최종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또한, 상하수도, 전력, 가스, 통신, 난방 등 지하시설물 등이 지반 매질과 유전율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반사 강도가 뚜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의 발생원인과 대책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매스콘크리트 온도균열은 거푸집의 조기탈형과 콘크리트 온도구배가 클 경우 온도충격에 의한 온도균열이 발생하고 내부.외부구속 온도차(20도 이상)에 의한 온도 쇼크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열, 콘크리트 단면이 클때, 콘크리트 온도가 높을때,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때, 외기 온도가 낮을 수록 증가, 대단면 콘크리트 급속타설 등으로 온도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매스콘크리트 온도균열 대책으로는 수축이음과 시공이음을 콘크리트 줄눈을 설계하여 균열 발생을 제어하고, 단면이 클 경우 분할하여 타설, 팽창콘크리트 사용, 저발열형 시멘트사용, 거푸집의 존치기간 확보, 온도균열지수 평가를 통한 온도균열제어 등을 통해 온도균열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Q. 흑산도 쪽에 신공항을 추가로 건립하고 내년에 개통하나요?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닺.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흑산공항은 국립공원위원회에서 철새서식지 보존 및 대체방안 마련, 조류충돌 등 이유로 공항 건설을 보류하였으나 각 분야별 여러 심의를 거쳐 2023년 국립공원구역을 해제하였습니다. 또한, 흑산도는 철새 이동으로 알려져 조류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 시민단체 및 환경단체의 반대에 부딛히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자체에서 2027년 개항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삽도 뜨지 않고 있습니다. 작년 무안국제공항 항공사고로 흑산공원에 대한 문제점이 다시 대두될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조류충돌 문제는 공항의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 해안 및 강주변에 있기 때문에 조류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은 흑산공항은 기후적, 환경적, 경제성 등 모든 조건이 맞지 않은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